[SOH] 중국이 한국 등 일부 국가의 일반 여권 소지자를 대상으로 한시적 단기 비자 면제 조치에 들어간 가운데, 지난 주말 중국으로 입국하려던 한국인이 입국을 거부당한 것으로 알려져 주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지난달 항공업계와 외교 소식통에 따르면 당월 중순 중국을 찾은 일부 한국인이 ‘‘입국 목적 불분명’, ‘질병’ 등을 이유로 입국을 거부당했다. 무비자 조치가 시행 중임에도 이런 이유로 규제한 것이다.
‘입국 목적 불분명’은 여행 목적이 명확하지 않거나, 관광 목적이라고 주장하나 실제로는 다른 목적을 가지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적용된다.
중국의 경우, 중국공산당 체제 비판 전력이 있거나 정치적 목적, 종교 등이 의심되는 경우에도 해당 사유를 들어 입국을 거부하는 사례가 적지 않다.
‘입국 목적 불분명’으로 입국이 거절된 한국인은 평소 유튜브 등 소셜미디어를 통해 중국의 정치 체제를 비판한 전력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다른 한국인은 ‘질병 이력’을 이유로 입국을 거부당했다. 그는 지난 2014년 중국에서 결핵 확진 판정을 받았는데, 그에 대한 완치 증명을 하지 못했기 때문이었다.
주중한국대사관은 “중국 당국이 우리 측에 모든 입국 거부 사례에 대해 통보하진 않는다”며 “과거 중국 내 처벌 또는 추방 경력이 있거나 중국 체제를 비판한 전력이 있는 경우 입국이 거부될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중국은 11월 8일부터 한국 등 일부 국가에 대해 내년 말까지 한시적 단기 비자 면제 조치를 시행 중이지만, 입국 목적을 △비즈니스 △관광 △친지 방문 △경유 등으로 제한하고 있다.
주중한국대사관에 따르면 중국 당국은 무비자 입국 시 입국 목적 및 체류 기간을 정확히 소명하고 중국 체류 시 숙소, 지인 연락처 등과 입국 후 주숙등기(외국인 임시거주 등록)도 요구하고 있다.
디지털뉴스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