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중국공산당의 영향력이 빠르게 확대되는 홍콩 정부가 대대적인 사회 감시망 구축에 나서고 있다.
지난 5월 ‘에포크타임스’에 따르면 홍콩 경찰은 증거 수집 및 저장을 위한 ‘중앙 디지털 이미지 플랫폼’ 구축 자금 3억 6000만 홍콩달러(약 621억 원)를 신청했다.
크리스 탕 홍콩 보안장관은 당월 7일(현지 시각) 열린 홍콩 입법회(의회) 보안 패널(Panel on Security)에서 “중앙 디지털 이미지 플랫폼에 인공지능(AI) 프로그램을 더해 경찰의 수사 능력을 강화할 것”이라며 이 같이 밝혔다.
탕 장관은 “향후 이 플랫폼에 안면인식 기능이 추가될 것”이라고도 말했다.
홍콩 정부는 올해 초 ‘범죄 예방’을 내세워 관련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지난 1월 워너 척 정무부 차관은 범죄 예방의 필요성을 언급하며 “홍콩 전역에 CCTV 카메라 2000대를 추가로 설치할 것”이라고 예고했다.
이에 홍콩 경찰 수장인 레이먼드 시우 경무처장은 “(CCTV 카메라) 2000대로는 충분치 않다”며 “향후 더 많은 카메라를 설치할 것이며, 안면인식 시스템도 도입할 것”이라고 밝혔다.
■ "안면인식, 이미 사용 중"
2019년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홍콩 경찰은 최소 2016년부터 안면인식 기능이 탑재된 AI 프로그램을 사용해왔다.
호주 IT업체 ‘아이옴니사이언트(iOmniscient)’의 AI 프로그램을 도입해, CCTV로 홍콩 시민들의 신원이나 차량 번호판 등의 정보를 수집했다는 것이다.
다만, 당시(2019년) 홍콩에서 벌어진 대규모 민주화 시위에 이 프로그램을 진압용으로 사용했는지 여부는 확인되지 않았다고 통신은 전했다.
하지만 일부 홍콩 시민들은 “곳곳에 설치된 ‘스마트 가로등’에 안면인식 기능이 포함돼 있는 것 같다”며 의혹을 제기했다.
이에 대해 홍콩 당국은 “안면인식 기능은 없으며, 관련 데이터를 제3자와 공유한 적도 없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홍콩 내에서는 “당국이 안면인식 시스템을 통해 시민들의 개인 데이터를 수집하고 있다”는 주장이 꾸준히 제기됐다.
2022년 5월, 비영리 탐사보도 기관인 ‘팩트와이어’는 “홍콩 당국이 2020년 출시한 코로나19 접촉자 추적 앱 ‘리브홈세이프(LeaveHomeSafe)’에 안면인식 모듈이 포함돼 있음을 발견했다”고 폭로했다.
이에 대해 홍콩 당국은 “인지하지 못하고 있었다”며 “앱 개발자도 ‘시중에 판매되는 일반 모듈을 설치했는데, 공교롭게도 그곳에 안면인식 등의 불필요한 기능이 포함돼 있던 것’이라고 해명했다.
■ 인권 악화 가속
홍콩 인권센터는 “홍콩 당국이 범죄 예방, 수사 능력 강화를 구실로 안면인식 시스템을 구축하려 하고 있다”며 “홍콩인들의 인권은 더 심각하게 침해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법 집행 기관이 이 시스템을 통해 수집한 데이터를 어떻게 사용할지 알 수 없으며, 특정한 개인 또는 단체를 통제하는 데 쓰일 위험도 있다는 것이다.
홍콩은 세계 최대·최고 수준의 감시망을 구축한 중국의 지베하에 있어, 시민들의 일거수일투족은 보다 강화된 감시와 겸열 지옥에 갇히게 될 것으로 보인다.
디지털뉴스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