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중국 국영 매체가 자국 IT업체들과 협력해 외국인 데이터를 수집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이들 중에는 테무(Temu), 디디추싱 등 유명 플랫폼도 포함돼 있다.
1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포스트(WP)’는 호주 캔버라 소재 싱크탱크인 호주전략정책연구소(ASPI)의 최신 보고서를 인용, "중국 정부가 통제하는 국영 선전기관들이 쇼핑·게임 앱을 포함한 중국 IT 기업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는데 광범위하게 연계돼 있다"고 보도했다.
ASPI는 1000개 이상의 중국 정부 기관과 중국 기업의 관계도를 공개했다. 여기에는 1억명 이상의 미국 사용자를 보유한 인기 전자상거래 앱 테무(Temu)와 중국 공산당 기관지인 인민일보 미디어 그룹 간의 계약 관련 내용도 포함돼 있다. 중국의 데이터 수집 대상국엔 한국도 포함된다.
보고서는 구체적으로, 테무의 모회사 격인 핀둬둬가 인민일보 계열의 데이터 관리회사인 인민데이터베이스(人民數据·인민DB)와 협력 관계를 맺고 있다고 밝혔다. 인민DB 홈페이지는 핀둬둬를 자사의 기업 파트너라고 소개하고 있다.
이외에 호주와 뉴질랜드 등에서 서비스 중인 중국의 차량 공유 업체 디디추싱과, 국영 항공사인 중국국제항공(에어차이나) 등도 인민DB 협력사로 거론됐다.
ASPI는 아울러 최근 중국 매체들은 자국 게임과 인공지능(AI), 메타버스 기업들과도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앞서 WP는 인민일보 미디어 그룹이 중국 공안과 정보기관을 대신해 서방 소셜미디어(SNS)를 통한 광범위한 해외 감시 임무를 대신 수행하고 있다고 보도한 바 있다.
시진핑 총서기는 집권 이후 자국에 대한 비판적 여론을 통제하고 긍정적인 여론을 조성하기 위해 선전 ·선동 전략을 강화해 왔다.
ASPI의 지적에 대해 관련 업체들은 부인했다. 핀둬둬는 “인민DB와 데이터 공유 계약은 맺지 않았다며 보도 자료 등 배포를 위해 선전기관과 협력 중일 뿐”이라고 주장했다. 테무도 인민DB와의 협력을 부인하며, 미국 사용자 데이터는 미국 내의 마이크로소프트(MS) 애저(Azure) 클라우드 서비스에 저장됐다고 했다.
그러나 이번 보고서를 주도한 ASPI의 전직 수석 분석가 서맨사 호프먼은 “중국 정부는 IT기업을 통해 국내뿐만 아니라 전 세계에서 전략적으로 가치 있는 데이터에 접근하고 이를 선전 활동에 활용하고 있다”고 밝혔다.
ASPI의 보고서는 미국 정치권이 안보상의 이유로 중국 동영상 플랫폼 틱톡(TikTok)의 미국 사용 금지로 이어질 수 있는 강제매각법의 입법을 마친 상황에서 나온 것이어서 주목받고 있다. 틱톡의 모회사인 바이트댄스가 이번 결과를 수용하지 않을 경우 틱톡은 미국에서 사용이 금지될 수 있다.
디지털뉴스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