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우리 정부가 최근 남중국해에서 중공(중국공산당)과 필리핀 간의 잦은 충돌에 우려를 표명한 데 대해, 중공이 "당사자가 아니면 덩달아 떠들지 말라"며 반발했다.
임수석 한국 외교부 대변인은 7일 정례 브리핑에서 남중국해 상황에 대한 취재진의 질문에 "남중국해에서 중국과 필리핀 선박이 충돌하고 필리핀 선박에 대해 물대포가 사용되면서 벌어진 위험한 상황에 대해 깊이 우려한다"며 "이러한 상황은 선원들의 안전을 위협하며 남중국해의 긴장을 고조시키고 있다"고 밝혔다.
임 대변인은 이어 "남중국해에서 평화와 안전, 규칙 기반 질서 유지 및 해당 수역에서 유엔해양법 협약을 포함한 국제법 원칙에 따른 항행과 상공 비행의 자유를 지지한다"고 했다.
주(駐)필리핀 한국대사관도 6일(현지시간) 소셜미디어를 통해 동일한 입장을 내놨다.
이에 대해 왕원빈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12일 정례브리핑에서 한국 외교부의 입장 표명에 엄중한 우려를 표한다면서 사건의 책임은 필리핀에 있고, 한국은 해당 문제의 당사자가 아니라고 주장했다.
왕 대변인은 한국은 최근 몇 년 새 여러 해 동안 유지해온 신중한 중립 입장을 바꿔 남해 문제와 관련해 여러 차례 중공을 비난했다면서 중공은 그때마다 반대 입장을 밝혀왔다고 했다.
왕원빈은 그러면서 우리 정부를 향해 ‘분위기에 휩싸여 덩달아 떠들지 말고, 한중 관계에 불필요한 부담을 늘리는 것을 피하라’고 촉구했다.
한국에 앞서 미국 국무부도 지난 5일 "중국의 도발적 행동이 벌어진 뒤 우리의 동맹인 필리핀과 연대한다"는 성명을 발표했고, 일본 외무성도 다음날 "무력으로 현상을 변경하려는 일방적 시도와 남중국해 긴장을 고조시키는 행동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중국 외교부는 다음날인 6일 브리핑에서 "미국 국무부는 중국의 정당하고 합법적인 권리 수호 행동을 까닭 없이 공격·비난했다"며 해당 분쟁은 중국과 필리핀 간 문제이기 때문에 미국을 포함한 제3자는 개입해선 안 된다고 반발했다.
권성민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