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홍콩에 대한 중국공산당(중공)의 탄압이 계속되는 가운데, 홍콩에서 경찰관 지원자가 급감하고 현직 경찰관 사직도 줄을 잇고 있다.
8일 대만 ‘자유시보’ 등에 따르면 2019년 1만578명이었던 경찰직 지원자는 올해 4392명으로 최대 폭(58%)으로 급감했다.
같은 기간 경찰을 포함해 교도소, 이민국 등 홍콩 기율 부대의 17개 직종 지원자 역시 9만3300명에서 4만4400명으로 52% 감소했다.
홍콩 기율 부대는 경찰, 징교서(교정부), 입경처(이민국) 등 법을 집행하는 6개 기관들을 뜻한다.
반면 사직자 수는 늘고 있다. 2022~2023년 경찰 사직자는 217명으로, 2020년 이후 최대 규모다.
홍콩 당국은 지난해 4월 △영주권자이며 최소 7년 연속 홍콩 거주 △시력 검사 통과 등 경찰 채용에 적용됐던 각종 기준을 완화·폐지하며 지원을 독려하고 있지만 인력난은 좀처럼 해소되지 않고 있다.
이런 가운데 홍콩 국가안전처는 2022~2023년 41세 이상의 순경 13명과 경감 17명, 홍콩에 최소 7년간 거주하지 않은 두 명의 순경을 각각 채용했다고 밝혔다.
홍콩 경찰 순경의 초봉은 2만7천홍콩달러(약 450만원), 경감의 초봉은 4만8천홍콩달러(약 800만원)로 다른 직업에 비해 적지 않다.
그런데도 불과 4년 만에 지원자가 급감한 것은 ‘홍콩의 중국화’와 무관치 않다는 분석이 나온다.
자유적 성향이 강한 홍콩의 젊은층은 중공에 대한 반감이 큰 만큼 그들의 명령에 복종해야 하는 경찰 등 각종 행정직에 거부감이 클 수밖에 없다.
중공은 2020년 6월 30일부터 △국가 분열 △국가정권 전복 △테러 활동 △외국 세력과의 결탁 등 4가지 범죄를 최고 무기징역형으로 처벌할 수 있는 홍콩국가보안법을 강행해 홍콩의 민주화는 사실상 붕괴됐다.
중공은 해당 법 시행 이후 △공무원에게 충성 맹세를 강요했고 △선거에서도 친중 성향이 입증된 후보자만 입후보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사회 전반을 강하게 통제하고 있다.
홍콩에서는 2019년 6월 범죄인 송환법안에 대한 반대에서 시작한 반정부 시위가 반년 넘게 지속됐다. 홍콩 경찰은 시위와 관련해 1만여 명을 체포했고, 관련 재판은 지금도 계속 진행 중이다.
한상진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