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중국이 미국의 인공지능(AI) 챗봇 '챗GPT'에 대항해 내놓은 첫 챗봇이, 공개 사흘 만에 서비스가 돌연 중단됐다.
12일 대만 ‘타이완뉴스’는 “중국의 AI 챗봇인 '챗위안(ChatYuan)'이 관련 규정 위반을 이유로 서비스가 중단됐다”고 보도했다.
챗위안은 중국 AI 기업 위안위가 개발한, 미국 오픈AI의 '챗GPT'와 유사한 대화형 챗봇이다.
보도에 따르면 지난 3일 서비스를 개시한 '챗위안'은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간 전쟁을 "러시아의 침략 전쟁"이라고 규정하는 등 중국 정부의 입장과 배치되는 답변을 내놨다.
앞서 중국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해 ‘침공이 아닌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의 동진(東進)을 막기 위한 특수 군사작전’이라는 해석을 내놨다.
챗위안은 중국 경제와 관련한 질문에서도 당국을 당황케 했다. "투자 부족, 주택 거품, 환경오염, 기업 운영 효율성 감소" 등을 지적하며 당국 입장과 배치되는 비관적 전망을 내놓은 것이다.
다만, 시진핑 총서기의 리더십에 관한 질문에는 “위대한 지도자이자 개혁가이며 열린 마음의 소유자이고 혁신을 높이 평가한다”고 답했다.
타이완뉴스는 "시 총서기에 대한 챗위안의 답변은 놀랍지 않지만, 중국의 검열이 공산당의 입장에 배치되는 일부 대담한 답변을 잘 걸러내지 못한 것은 놀랍다"고 전했다.
결국 챗위안은 앱스토어에서 '관련 규정 위반'을 이유로 서비스가 중단됐다.
앞서 위안위는 챗위안이 법률부터 건강까지 다양한 분야에 걸쳐 전문적인 답변을 내놓을 수 있으며 글 창작 작업도 지원할 수 있다고 밝힌 바 있다.
문제가 된 챗위안의 답변은 네티즌들에 의해 웨이보(중국판 트위터) 등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확산되고 있다.
권민호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