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세계보건기구(WHO)가 중국의 코로나19 사망자 축소를 지적한 데 대해 중국 방역당국 관계자가 “공식 사망자 수를 집계할 필요가 없다“고 주장했다.
마리아 반 커크호브 WHO 기술 수석은 11일(현지시간) 브리핑에서 “중국과 코로나19 관련 업무를 하는 과정에서 (중국 측 자료와 실제 상황 간에) 매우 중요한 격차가 있다”고 지적했다.
앞서 WHO는 중국이 방역 규제를 풀기로 한 지난해 12월 초 이후 중국 보건당국으로부터 신규 입원자 수 등 방역 관련 정보도 받지 못했고, 최근에야 12월 26일부터 올해 1월 1일까지 신규 확진자와 입원자, 사망자 규모를 다룬 주간 현황을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WHO는 “중국의 공식 코로나19 사망자 수는 지나치게 협애한 기준으로 집계하기 때문에 실상과 거리가 멀다”고 지적했다.
중국 방역 당국은 지난해 12월부터 사인이 폐렴 또는 호흡 부전일 경우에만 코로나19 사망자로 집계하고 있다.
WHO의 지적에 대해 중국 칭화대 교수이자 국가위생건강위원회 전문가 량완니엔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팬데믹 기간 코로나19의 치명률과 사망률을 정확하게 판단하기는 어렵다”며 “현 단계에서는 중증 질병 및 질병 사망 예방이 우선"이라고 주장했다.
또 ”팬데믹 기간 핵심 과제는 치료이기 때문에 현재 모든 사망자에 대한 사인 조사나 집계는 할 필요가 없다“고도 반박했다.
그러면서 량완니엔은 “중국 방역당국의 집계는 국제 표준에 부합하는 사망자 판정 기준이기도 하다”며 “국제 사회가 코로나19 사망자에 대한 공통된 기준에 합의할 수 있다면 좋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 각국이 상황에 따라 자국 기준으로 분류하면 그만”이라고 했다.
중국은 지난해 12월 이후 코로나19 공식 사망자 수를 37명으로 공식 집계했다. 그러나 WHO는 입수 자료를 토대로 지난해 12월 16일부터 올해 1월 1일까지 사망자 수가 648명으로 집계했다.
그러나 실제 사망자 수는 훨씬 더 많다는 지적이 이어진다. 일부 전문가들은 중국 인구 14억명의 40%인 6억명 이상이 감염됐다고 추산하는가하면 영국 데이터 기업인 에어피니티는 중국에서 일일 코로나19 사망자가 1만명에 육박하는 것으로 파악된다고 밝히기도 했다.
한지연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