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홍콩 시민들의 언론 신뢰도가 20년 만에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홍콩프리프레스(HKFP)’는 홍콩중문대가 최근 진행한 설문 결과를 인용해 이 같이 전했다.
홍콩중문대는 2001년부터 홍콩 언론에 대한 대중의 신뢰도 설문 조사를 3년마다 진행해왔다. 이번 설문은 6∼7월 994명을 대상으로 신뢰도 점수(1~10)를 주도록 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지난 25일 발표된 해당 설문 결과에 따르면, 홍콩 언론에 대한 대중의 종합적인 신뢰도 점수는 직전 설문(2019년) 때보다 0.27포인트 낮은 5.44를 기록했다.
이는 2020년 6월 국가보안법 시행 후 강화된 언론 탄압의 영향이 반영된 것으로 해석된다.
홍콩에서는 지난 수십 년간 자유·민주 성향 언론들이 활발히 활동해왔지만, 2020년 6월 국가보안법 시행 후 빈과일보를 시작으로 입장신문, 시티즌뉴스, 팩트와이어 등이 당국의 압박 속에 잇따라 폐간했다.
홍콩외신기자클럽(HKFCC)도 국가보안법 위반 우려를 이유로, 26년 역사의 인권언론상(HRPA) 주관을 포기했다.
홍콩은 지난 5월 국경없는기자회(RSF)가 발표한 '2022 세계 언론자유 지수'에서 180개 국가 중 가장 가파른 순위 하락(68계단)을 보이며 148위로 고꾸라졌다.
RSF는 열악한 언론 환경에 대해 “언론의 자유가 지속적으로 공격받고 있고 법치도 서서히 사라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번 설문을 처음부터 진행해온 클레멘트 소 홍콩중문대 교수는 HKFP에 “언론의 신뢰도는 최근 계속 낮아지는 추세”라며, “사회적 이슈와 사건을 다루고 상황을 감시하는 등의 본연의 기능을 하지 못하기 때문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다만 그는 “언론에 대한 낮은 신뢰도는 세계적 추세이며 홍콩에 국한되지 않는다”고 부연했다.
디지털뉴스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