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지난해 6월 홍콩 국가보안법(홍콩보안법) 시행 이후 홍콩에서 최소 50개의 민주단체가 해산했다고 ‘파이낸스투데이’가 홍콩 언론을 인용해 지난달 보도했다.
11월 29일 홍콩프리프레스(HKFP)는 “올 들어 현재까지 홍콩 민주화 운동을 이끌어온 노조와 언론사, 정당, 교회 등 최소 50개 단체가 당국의 탄압에 따른 어려움 속에 해산을 선택했다”고 전했다.
홍콩 국가보안법은 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에서 처리돼 2020년 7월 1일부터 시행된 법안으로, 홍콩 내 반정부 활동에 대해 국가 분열, 국가 정권 전복, 테러 활동, 외국 세력과의 결탁 등 4가지 범죄를 최고 무기징역형으로 처벌할 수 있도록 했다.
해당 법 시행으로 홍콩에서는 민주 진영을 대표하는 인사들을 포함해 150여 명이 체포됐고 수십 명이 기소됐다.
해산된 조직도 수십년 된 단체부터 2014년 우산혁명과 2019년 반정부 시위 이후 탄생한 신규 단체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가장 역사가 오래된 조직은 1971년 설립된 홍콩중문대 학생회와 1973년 설립된 홍콩직업교사노조다. 1989년 톈안먼 민주화 시위 직후 설립된 홍콩시민지원애국민주운동연합회와 홍콩기독애국민주운동, 1990년 설립된 홍콩 최대 노동단체 홍콩직공회연맹 등도 해산됐다.
또 1982년 활동을 시작한 앰네스티 인터내셔널 홍콩지부는 올해 말 홍콩 사무소를 폐쇄한다고 발표했고, 1995년 창간한 민주진영 일간지 '빈과일보'는 당국의 압박 속에 지난 6월 문을 닫았다.
그 밖에 2000년대 들어 결성된 시민단체 민간인권진선·민주진선·민권관찰, 중국 본토에서 활동하는 인권변호사들을 지원하기 위해 결성된 중국유권율사관주조, 정당인 열혈공민·진보선연맹·신민주동맹 등도 줄줄이 해산했다고 매체는 전했다.
디지털뉴스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