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그인
    • 회원가입
    • 사이트맵
    • 08.13(수)
페이스북 바로가기 트위터 바로가기
  • 중국

  • 국제/국내

  • 특집

  • 기획

  • 연재

  • 미디어/방송

  • 션윈예술단

  • 참여마당

  • 전체기사

검색어 입력

홍콩 청년 70% “법치 믿지 않는다”

강주연 기자  |  2021-11-10
인쇄하기-새창



▲ [사진=SOH 자료실]


[SOH] 홍콩 국가보안법(홍콩보안법) 시행으로 자유민주의 불씨가 꺼져가는 홍콩에서 ‘청년층의 70%가 2019년 반정부 시위 이후 법치에 대한 신뢰를 잃었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8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홍콩청년협회 산하 청년연구센터가 전날 공개한 보고서를 통해 이 같이 전했다.


홍콩청년협회는 1960년에 설립된 정부의 지원을 받는 홍콩 최대 청년조직으로, 30만명 이상의 회원을 가지고 있다.


이번 결과는 청년연구센터가 지난 9월 14∼18일 홍콩 15∼34세 청년 529명을 대상으로 2019년 반정부 시위를 기점으로 홍콩의 법치에 대한 청년들의 생각을 묻는 설문조사를 진행한 데 따른 것이다.


당시 조사에서 응답자의 80%는 경찰에 대한 신뢰가 줄었다고 답했다. 법무부에 대한 신뢰도 59% 줄어들었고, 판사에 대한 신뢰 역시 48% 감소했다. 4명 중 1명 이상은 "법이 불합리하다고 판단되면 따르지 않겠다"고도 답했다.


2019년 시위 이후 법치를 더 신뢰한다는 응답은 2.3%에 그쳤다.


'정부가 법원의 판결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항목에서는 약 45%가 '매우 동의한다' 혹은 '상당히 동의한다'고 말했으며, 42%는 '반반'이라고 답했다.


재판의 공정성을 믿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19.1%는 "믿지 않는다"고 답했으며, 18.3%은 "믿는다"고 대답했다.


홍콩에서는 2019년 범죄인 인도법(송환법)이 추진됐지만 6개월 이상 대규모 반대 시위가 이어지면서 무산됐다.


송환법은 중국이나 타이완, 마카오 등 범죄인 인도조약을 맺지 않은 나라나 지역에 대해서도 범죄인들을 (중국으로) 인도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을 담았다.


송환법은 홍콩 시민들의 격렬한 반대로 무산됐지만 중국은 이듬해 홍콩 국가보안법(홍콩보안법)을 직접 제정한 데 이어 올해는 홍콩의 선거제를 전면 개편해 홍콩 내 자유민주 지지자들이 목소리를 낼 수 있는 환경을 사실상 박탈했다. / 연합뉴스



강주연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목록  
글쓰기
번호
제목 이름 날짜
4349 中 우주 쓰레기로 주변국 민폐... 사전 통보, 안전 조치....
디지털뉴스팀
25-08-08
4348 中 알리코리아, 한국 기업으로 전환... 신세계와 JV 설....
디지털뉴스팀
25-08-06
4347 中, 티베트에 싼샤댐 3배 댐 건설... 주변국 “물 부족, ....
디지털뉴스팀
25-08-05
4346 中 해상풍력 기업, 韓 시장 공습... 국가 안보, 국부 유....
디지털뉴스팀
25-07-23
4345 中, 코로나 확진자 2.6배↑... 7월 대유행 경고
디지털뉴스팀
25-06-28
4344 SK텔레콤 사태로 '중국발 해킹' 재조명
조재필 기자
25-06-11
4343 中, ‘0km 중고차’ 대량 유통... 가격 전쟁, 공급과잉 부....
디지털뉴스팀
25-06-07
4342 한국·대만 ‘中 간첩’ 기승... 軍기밀 유출 비상
디지털뉴스팀
25-05-15
4341 홍콩, 민주활동가 가족 체포... 국보법 첫 적용
디지털뉴스팀
25-05-08
4340 中 '심해 케이블 절단기' 공개... 글로벌 통신망 안전 ....
디지털뉴스팀
25-04-02
글쓰기

특별보도

더보기

핫이슈

더보기

많이 본 기사

더보기

SOH TV

더보기

포토여행

더보기

포토영상

더보기

END CCP

더보기

이슈 TV

더보기

꿀古典

더보기
450,450,755

9평 공산당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