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그인
    • 회원가입
    • 사이트맵
    • 05.03(토)
페이스북 바로가기 트위터 바로가기
  • 중국

  • 국제/국내

  • 특집

  • 기획

  • 연재

  • 미디어/방송

  • 션윈예술단

  • 참여마당

  • 전체기사

검색어 입력

홍콩 청년 70% “법치 믿지 않는다”

강주연 기자  |  2021-11-10
인쇄하기-새창



▲ [사진=SOH 자료실]


[SOH] 홍콩 국가보안법(홍콩보안법) 시행으로 자유민주의 불씨가 꺼져가는 홍콩에서 ‘청년층의 70%가 2019년 반정부 시위 이후 법치에 대한 신뢰를 잃었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8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홍콩청년협회 산하 청년연구센터가 전날 공개한 보고서를 통해 이 같이 전했다.


홍콩청년협회는 1960년에 설립된 정부의 지원을 받는 홍콩 최대 청년조직으로, 30만명 이상의 회원을 가지고 있다.


이번 결과는 청년연구센터가 지난 9월 14∼18일 홍콩 15∼34세 청년 529명을 대상으로 2019년 반정부 시위를 기점으로 홍콩의 법치에 대한 청년들의 생각을 묻는 설문조사를 진행한 데 따른 것이다.


당시 조사에서 응답자의 80%는 경찰에 대한 신뢰가 줄었다고 답했다. 법무부에 대한 신뢰도 59% 줄어들었고, 판사에 대한 신뢰 역시 48% 감소했다. 4명 중 1명 이상은 "법이 불합리하다고 판단되면 따르지 않겠다"고도 답했다.


2019년 시위 이후 법치를 더 신뢰한다는 응답은 2.3%에 그쳤다.


'정부가 법원의 판결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항목에서는 약 45%가 '매우 동의한다' 혹은 '상당히 동의한다'고 말했으며, 42%는 '반반'이라고 답했다.


재판의 공정성을 믿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19.1%는 "믿지 않는다"고 답했으며, 18.3%은 "믿는다"고 대답했다.


홍콩에서는 2019년 범죄인 인도법(송환법)이 추진됐지만 6개월 이상 대규모 반대 시위가 이어지면서 무산됐다.


송환법은 중국이나 타이완, 마카오 등 범죄인 인도조약을 맺지 않은 나라나 지역에 대해서도 범죄인들을 (중국으로) 인도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을 담았다.


송환법은 홍콩 시민들의 격렬한 반대로 무산됐지만 중국은 이듬해 홍콩 국가보안법(홍콩보안법)을 직접 제정한 데 이어 올해는 홍콩의 선거제를 전면 개편해 홍콩 내 자유민주 지지자들이 목소리를 낼 수 있는 환경을 사실상 박탈했다. / 연합뉴스



강주연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목록  
글쓰기
번호
제목 이름 날짜
4340 中 '심해 케이블 절단기' 공개... 글로벌 통신망 안전 ....
디지털뉴스팀
25-04-02
4339 [영상] 中 휴머노이드 로봇, 축제서 관중 공격... 제작....
권민호 기자
25-03-01
4338 홍콩 민주주의 종언?... 유일 야당 해산 착수
디지털뉴스팀
25-02-25
4337 中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등장... “사람에 전파 가능”..
디지털뉴스팀
25-02-22
4336 中 체류·여행시 한국산 약품 구입·소지 주의... '마약 ....
이연화 기자
25-02-18
4335 中 인권탄압 악명 재확인... 반체제 인사, 강제 입원·약....
디지털뉴스팀
25-01-25
4334 홍콩, 해외 체류 민주파에 또 현상금... 여권 취소도
디지털뉴스팀
25-01-08
4333 티베트 규모 7.1 강진... 최소 53명 사망
미디어뉴스팀
25-01-07
4332 中, 티베트에 싼샤댐 3배 댐 건설,,, 주변국 피해 우려↑
디지털뉴스팀
25-01-05
4331 前 티베트 망명정부 수반... '자유민주주의·인권 가치' ....
디지털뉴스팀
25-01-03
글쓰기

특별보도

더보기

핫이슈

더보기

많이 본 기사

더보기

SOH TV

더보기

포토여행

더보기

포토영상

더보기

END CCP

더보기

이슈 TV

더보기

꿀古典

더보기
445,931,050

9평 공산당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