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공급 부족으로 인해 생명을 구하는 코로나19 백신에 대한 국가별 접근성이 현저한 차이를 초래함에 따라 전 세계에 백신을 배포하려는 캠페인이 중국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1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중국의 백신 개발업체인 시노백 바이오텍과 시노팜 그룹은 수백만회 접종분의 백신을 국제백신협력프로그램 코백스(COVAX)에 판매하기로 합의했다면서, 전 세계에 백신 유통 노력에 매우 필요한 활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세계보건기구(WHO) 등 단체들의 지원을 받는 코백스는 지난해 백신의 공평한 유통을 위해 설립됐지만 당초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고 있다.
코백스는 부유한 국가들에게 뒤쳐져 백신 접종에 어려움을 겪는 개발도상국 등을 지원하기 위한 취지로 설립됐다.
코백스는 내년 초까지 18억회분의 백신을 납품할 계획을 세웠지만 현재까지 1억200만회분 전달에 그쳤다. 이에 시노백과 시노팜은 즉시 백신 공급 강화에 나설 예정이다.
코백스를 대신해 백신을 구입한 세계백신면역연합(Gavi)에 따르면 시노팜은 이달부터 10월까지 6000만회 접종분의 백신을 제공하기로 합의했다.
Gavi는 추후 1억1000만회 접종분을 추가로 확보할 수 있는 옵션을 가지고 있다. 시노백은 3억8000만회분을 공급할 예정이다.
코백스 프로그램은 2회 접종용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에 크게 의존해왔지만 핵심 제조사인 인도 세럼연구소의 출하가 지연됨에 따라 유통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인도는 국내 감염 확산으로 백신 수요가 급증하면서 수출을 중단했다.
시노백과 시노팜의 백신은 비활성화 형태의 코로나 바이러스에 기반을 두고 있다. 중국산 백신은 올 초 WHO로부터 긴급사용을 승인을 받은 뒤 개발도상국을 상대로 집중 보급에 주력해왔다.
중국산 백신은 접종 후 재감염 사례가 속출해 면역 효과 낮은 ‘물 백신’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실험과 실제 연구에서도 실제 면역 효과는 50~80%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졌다. / 뉴스1
권성민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