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인도와 중국이 국경 분쟁으로 대립 중인 가운데, 양국이 군병력·장비를 국경지대로 집결하고 실탄훈련까지 벌이고 있어 전쟁 발발 가능성 등으로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
10일(현지시간)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와 인도 매체 NDTV 등에 따르면 양국군은 인도 북부 라다크 지역의 분쟁지 판공호수 남쪽 인근 고지대인 레장 라 산길과 구룽 언덕, 무크파리, 몰도 등에서 200m 거리까지 접근하며 대치하고 있다.
인도 정부 당국자는 “양국 간의 현재 교착 상태는 어떤 상황으로든 번질 수 있다”면서 “군사 충돌, 국지전, 확전 등의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밝혔다.
다른 인도 당국 관계자는 “중국이 라드크 동쪽 지역에서 레드라인을 넘을 경우 보복에 나설 것”이라고 경고했다.
양국은 분쟁 지역에서 군병력 및 장비, 시설 등을 강화하고 있다. 중국군은 신형 곡사포와 탱크 등을 배치했고, 인도군도 T-90 탱크를 투입하고 미그-29 전투기와 공격 헬기 아파치를 전진 배치한 상태다.
SCMP는 "중국이 인도 국경 근처에 H-6 폭격기와 Y-20 수송기를 최소 3대 이상 배치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중국 시짱(티베트) 군구는 전날 해발 4900m 고원지대에서 실시한 탱크와 다연장로켓 등의 실탄 사격훈련 영상을 공개했다.
중국과 인도는 1962년 국경 문제로 전쟁을 치른 후 현재까지 국경선을 확정하지 못한 채 실질 통제선(LAC)을 경계로 맞서고 있다.
양국은 지난 5월부터 국경지대에서 팽팽하게 대립하고 있다. 특히 지난 6월 15일 라다크 지역 동쪽 갈완 계곡에서 발생한 양국군 간 유혈 충돌 이후 양국 간 갈등은 한층 고조되고 있다.
인도 당국은 당시 충돌로 자국 군인 20명이 사망했다고 밝혔다. 중국 측도 인명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정확한 피해 규모는 밝히지 않았다.
양국은 분쟁지역에서 ‘총기휴대금지’ 협정을 맺고 있으나 지난 7일에는 판공호수 근처에서 총기 사용 사건까지 발생했다. 양국이 국경 분쟁에서 총기가 사용한 것은 1975년 이후 45년 만이다.
당시 사건에 대해 양국은 상대방이 먼저 총기를 사용했다고 주장하며 책임 공방을 벌이고 있다.
이런 가운데 양국 외교장관이 9~10일(현지시간)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열리는 상하이협력기구(SCO) 회의에 참석할 예정이어서 분쟁을 풀어나갈 접점을 찾을 수 있지 주목된다.
중국 군사 전문가들은 양국 간 갈등 상황에 대해 “작은 오판 하나만으로도 큰 실수를 유발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 파이낸셜뉴스
디지털뉴스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