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안면인식 통제가 일반화 된 중국에서, 화재로 대피가 시급한 상황에서도 안면인식을 요구한 대학이 뭇매를 맞았다.
13일 중국 매체에 따르면 지난 10일 산둥성 지난의 지루공업대학 창칭캠퍼스 여학생 기숙사 1층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당시 현장에는 불꽃과 검은 연기가 피어올랐고 학생들은 서둘러 밖으로 대피하기 위해 출입문으로 몰려들었다. 1층이라 창문으로도 대피할 수 있었지만 방범창이 설치돼 나갈 수 없었다.
그런데 외부로 나가는 모든 문은 스마트출입시스템으로 가동돼 안면인식기를 통과하지 않으면 나갈 수 없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로 인해 당시 현장은 대피하려는 학생들로 정체되면서 큰 혼잡을 빚었다.
이에 대해 웨이보 등 중국 소셜미디어에서는 △“불이 났는데도 얼굴 스캔을 고수하다니..”, △“인명보다 통제가 우선인가?”, △“무고한 생명을 얼마나 죽이려고 하냐”, △“소방법상 화재 발생 후 출입통제시스템이 탈출을 방해해선 안 된다고 명시돼 있다”는 등의 댓글이 이어졌다.
한 네티즌은 “학생의 생체정보를 과도하게 수집하고 탈출로를 차단하는 것이 학생의 안전을 위한 것인가 아니면 일부 사람의 안전과 이익을 위한 것인가”라고 반문하기도 헸다.
논란이 불거지자 학교 측은 이번 화재는 “보조배터리 때문에 발생한 작은 화재며 이로 인한 인명피해는 없었다”고 밝혔다.
하지만 웨이보에 올라 온 당시 화재 사진에는 시뻘건 불꽃과 검은 연기가 포착돼 작은 화재가 아니었음을 알 수 있다.
학교 측은 또 “안면인식은 우리 학교의 보안시스템이기 때문에 학생의 안전을 확보하려면 안면인식이 필요하다”는 입장도 내놨다.
디지털뉴스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