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중국 당국이 코로나19(중공 바이러스 감염증) 방역을 이유로 도입한 ‘지하철 승차권 구매 실명제’를 현재까지 계속 시행하고 있어 시민들이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
중국 당국은 올해 1월 8일부터 코로나19 방역 수준을 기존 ‘을(乙)류 갑급관리(2급 감염병 1급관리)’에서 ‘을류 을급관리'(2급 감염병 2급관리)로 완화했지만, 베이징시 당국은 지하철 이용 시 여전히 신분증 제시를 요구하고 있다.
‘에포크타임스’에 따르면 최근 웨이보 등 중국 소셜미디어에서 베이징 당국이 시행 중인 지하철 승차권 구매 실명제에 대해 “번거롭고 피곤하다”는 등의 불평이 확산하고 있다. “지하철을 이용하는데 왜 사사건건 신분을 확인받아야 하냐”는 것.
“비행기나 기차, 선박 이용 시 신분증을 요구하는 것은 그래도 이해할 수 있지만 베이징은 일상 교통수단인 지하철을 이용할 때도 신분을 요구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베이징의 지하철 승차권 구매 실명제는 지난 2022년 5월 17일 시내 전 지하철 노선에 도입됐다.
시 교통위원회에 따르면 코로나19(중국 공산당 바이러스 감염증) 방역을 위해서지만 사실상 방역이 해제된 현재에도 여전히 시행 중이다.
특히 승차권 구매 실명제와 함께 도입된 ‘건강코드’ 앱 설치·사용은 의무화가 해제됐는데도 구매 실명제는 계속 되고 있어 시민들의 불평과 불만을 내놓고 있다.
일상 중 곳곳에서 신분 인증이 범람하는 것도 문제다.
베이징 지하철 승차권 구매 실명제 불만을 토로한 게시글엔 “실명을 요구하는 곳이 너무 많아 사생활이 전혀 없다”, “(이런 절차는) 번거롭고 정말 시간 낭비다”는 등의 지적도 이어졌다.
외국인들은 베이징에서 지하철 이용 시 한층 더 불편하다.
승차권 발매기에선 중화인민공화국(중공) 신분증만 인식이 가능해, 외국인은 안내창구에서 직원을 통해 구입해야 한다.
불편은 신분증 제시에만 그치지 않는다.
베이징의 일부 지하철역에서는 승차권 발매기에 신분증 판독 기능이 없어 신분증 번호를 일일이 입력해야 한다.
현지 라디오 방송인 베이징신원광보(北京新聞廣播)의 최근 보도에 따르면 스차하이(什剎海), 아오선(奧森) 등 평소 승하차객이 많아 혼잡한 역에서는 승차권 구매 시 신분증 확인 절차를 생략하고 있다.
그러나 융타이좡(永泰莊), 진안차오(金安橋) 등 유동인구가 적은 소규모 역에서는 여전히 신분증 확인을 요구하고 있어, 비일관적인 정책으로 인한 혼선도 빚어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하철 승차권 구매 실명제는 지난 2018년 신장 위구루 자치구의 주요 도시인 우루무치 시내 지하철에 도입된 바 있다.
당시 시 당국은 지하철 운영관리를 위한 조치라고 주장했지만, 국제사회에서는 위구르 탄압의 일환으로 분석했다.
디지털뉴스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