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중국 베이징시가 '제로 코로나' 방역 정책을 향후 5년 더 지속될 것이라고 밝혀 여론의 뭇매를 맞았다.
27일(현지시간) ‘베이징일보’ 등에 따르면 차이치(蔡奇) 베이징 당서기는 이날 오전 중국공산당 베이징시 13차 당 대회 보고에서 “코로나19의 해외 유입과 국내 신규 감염 재반등을 막기 위해 향후 5년 간 '제로 코로나'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고품질의 코로나19 핵산검사와 선별 검사를 상시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신문은 차이 당서기의 말을 인용, “코로나19 통제 정책에는 정기적인 유전자 증폭(PCR) 검사, 엄격한 입국 규칙, 주거지역과 공공장소에서의 정기적인 건강검진, 베이징을 입출자들에 대한 엄격한 감시와 검사가 포함될 것”이라고 전했다.
이에 대해 온라인에서는 “생각만 해도 끔찍하다”, “제로 코로나는 사람을 미치게 한다”, “기본적 인권도 고려하지 않는 정책은 사양한다”, “베이징을 떠나야 겠다”는 등의 거센 비난과 반발이 이어졌다.
중국 내에서는 '제로 코로나'로 인한 반복적 봉쇄, 경제적 피해 등으로 주민들의 불만이 커지고 있다.
베이징과 상하이를 포함해 중국 전역의 많은 도시들은 지난 몇 달간의 엄격한 '제로 코로나' 봉쇄로 모든 활동이 중단되면서 경제에 큰 타격을 입었다. 고용시장도 지난 5월 16∼24세 실업률이 18.4%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파장이 커지자 검열 당국은 현지 언론 보도에서 '향후 5년'이라는 문구를 삭제했고, 주요 소셜미디어에서도 '향후 5년'이라는 해시태그가 재빨리 삭제됐다.
AP통신은 "이번 논란 이후 중국 내 소셜미디어에서 '향후 5년'이라는 단어를 검색하면 관련 법과 규정, 정책에 따라 더 이상 그 주제를 표시할 수 없다는 문구가 뜬다"고 전했다.
차이치는 시진핑 중국 총서기의 최측근이다. 시진핑은 지난 5월 초 중국 최고 의사결정 기구인 공산당 정치국 상무위원회 회의에서 지도부의 '제로 코로나' 결정과 계획을 더욱 강화할 것을 관료들과 사회의 모든 부문에 명령했다.
하지성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