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2달 가까이 이어진 중국 상하이의 제로코로나 봉쇄가 부분적으로 풀리면서 일부 열차 운행이 재개됐지만 열차표 부족과 까다로운 이동 규정 등으로 도시를 떠나려 하는 이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
20일 현지 언론에 따르면 상하이 내 열차 운향이 일부 재개됐지만 도시를 떠나려는 시민들과 타지 출신의 농민공들은 표를 구하기 어려운 데다 절차도 까다로워 애를 먹고 있다.
열차 탑승은 까다로운 조건을 충족해야 가능하다.
△코로나19 추가 감염이 없어 방어구역으로 하향 조정된 지역 주민만 허용되며 △도착할 곳에 미리 귀향 신청을 하고 허가를 받은 뒤 상하이 거주지 주민위원회에서 외출 증명서를 발급받아야 한다. △48시간 이내 유전자증폭(PCR) 검사 음성 판정, 24시간 내 항원검사 음성 증명도 필요하다.
이러한 절차를 통과하더라도 난관은 더 있다.
상하이역과 훙차오역에서 출발하는 열차가 하루 21회에 불과해 표 구하기가 쉽지 않은데다 대중교통이 정상화되지 않아 인터넷 예약으로 택시를 잡아야 하는데 이 또한 열차표 예매만큼이나 쉽지 않다.
이 같은 상황은 상하이의 정상적 회복은 아직 갈 길이 멀었음을 반영한다.
최근 중국 소셜미디어에서는 상하이 탈출과 관련된 처절한 귀향 사연이 속속 올라오고 있다.
타지 출신의 A씨는 운 좋게 운행 재개 첫날인 지난 16일 고향행 열차표를 구매해 15일 밤 11시 40분 집을 나섰지만 기차역까지 이동할 택시를 잡지 못해 트렁크를 버리고 21㎞를 걸어 이튿날 새벽 4시가 돼서야 역에 도착할 수 있었다.
후베이 우한 출신의 일행 3명은 열차표를 구하지 못해 고속열차 운임의 약 10배인 9천 위안(약 170만원)을 주고서야 승용차를 대절, 8시간여 만에 고향으로 돌아갈 수 있었다.
헤이룽장성 다칭이 고향인 한 남성은 자전거로 30㎞를 달려 중고차 판매점에 가 1만 위안(약 189만원)에 자동차를 구입해 이틀 밤낮 2천㎞ 달려야 했다. 그는 다칭에서 자가 격리 14일을 거친 뒤에야 집에 도착할 수 있었다.
랴오닝성 다롄 직행 열차표를 구하지 못한 B씨는 지난 9일 훙차오역에서 난징역까지 간 뒤 열차를 갈아타고 지난에 도착, 격리시설에서 7일을 보낸 뒤 다롄행 비행기에 탈 수 있었다.
중국 정부는 상하이의 봉쇄 완화를 제로코로나의 성공 사례로 포장하기 위해 선전 등을 강화하고 있지만 현지에서는 까따로운 이동 제한과 상업 활동 등에 대한 불만이 여전히 이어지고 있다. / 연합뉴스
디지털뉴스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