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중국 허난(河南)성 정부가 안면인식 기술을 사용해 언론인과 외국 유학생 등을 감시하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으로 알려졌다고 1일 ‘세계일보’가 외신을 인용해 보도했다.
지난달 30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전날 허난(河南)성 정부는 언론인과 외국인 유학생을 감시하기 위한 시스템 구축 관련 입찰을 정부 조달 홈페이지에 공고했다.
입찰 제안서에는 사진이나 얼굴 특징 등으로 인물을 검색·확인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기자, 외국인 학생 등을 추적하기 원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특히 기자에 대해서는 빨강⋅노랑⋅초록 등 3단계로 분류해 실시간 동선 파악이 가능하도록 요구했다.
성 당국은 “감시 시스템은 추적 대상자의 마스크와 안경에 부분적으로 가려진 얼굴도 정확히 파악할 것과 대상자의 사진을 업로드하거나 얼굴의 특징을 검색하는 방식을 통해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할 수 있어야 한다”고도 밝혔다.
당국은 제안서에서 “의심스러운 인물은 추적·통제돼야 하고, 동적인 분석과 위험 평가가 이뤄져야 하며, 기자는 (등급) 분류에 따라 관리돼야 한다”고 주문했다.
해당 입찰은 9월 17일 IT기업 ‘뉴소프트(Neusoft·東軟)’가 500만위안(약 9억원)에 계약을 따낸 것으로 알려졌다.
로이터는 "뉴소프트는 이번 계약을 11월 중순까지 시스템 구축을 완료해야 하지만 현재 해당 시스템이 운영 중인지는 알 수 없다"고 전했다.
허난성의 이번 프로젝트는 미국 감시업체 ‘IPVM’에 의해 처음 포착됐다.
IPVM은 “중국 당국은 언론인에 대한 억류 및 처벌을 줄곧 이어왔지만, 이번 (입찰) 문서를 통해 언론인에 대한 효율적 탄압을 위해 보안 기술을 구축하고 있다는 사실은 처음 드러났다”고 밝혔다.
중국공산당 정치국은 지난 1월 안면 인식, 인공지능 등을 활용해 통치 능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을 채택했다.
디지털뉴스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