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중국공산당(이하 중공)의 억압 강화로 홍콩의 취재 환경이 크게 악화된 가운데, 홍콩에서 일하는 외신기자의 절반이 떠날 것을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6일 홍콩외신기자클럽(HKFCC)은 ‘홍콩 국가보안법(홍콩보안법)’과 관련해 회원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에서, 응답자의 약 절반(46%)이 “언론자유가 후퇴해 홍콩을 떠날 계획을 세웠거나 고려하고 있다”고 답했다고 밝혔다.
이번 설문은 HKFCC 회원 396명을 대상으로 진행됐으며, 응답자는 99명이었다.
HKFCC에 따르면 설문 참가자 중 56%는 홍콩보안법 시행 후 민감한 주제에 대한 보도를 피하거나 자기검열을 하고 있다고 답했다.
86%는 취재원들이 민감한 주제에 대한 언급을 회피하고 있다고 답했고, 48%는 정확히 어떤 사진·영상이 홍콩보안법을 위반하는지 알 수 없어 불안하다고 토로했다.
홍콩 당국이 추진 중인 ‘가짜 뉴스법’에 대해서는 91%가 “매우 우려한다”고 답했다.
키스 리츠버그 HKFCC 회장은 '홍콩프리프레스(HKFP)'에 “홍콩 언론자유에 대한 우려가 증가함에 따라 진행됐다”며, “향후 이 같은 조사를 정기적으로 진행해 회원들 간 의견을 파악하고 그 결과를 공개할 것”이라고 말했다.
홍콩은 영국 식민지 시절에도 언론의 자유가 보장됐고 중국에 반환된 이후에는 본토와 분리된 일국양제 체제로 운영돼 아시아 금융 중심지 및 국제 언론사들의 아시아 본부 설립지로 각광받았다.
그러나 지난해 홍콩보안법이 시행된 후부터 홍콩의 언론 환경은 급속히 악화됐다. 그 여파로 지난 6월에는 홍콩 유일의 민주 성향 일간지 빈과일보가 당국의 압박 속에 폐간했다.
국제 사회도 홍콩의 언론자유 악화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
국제 언론 감시단체인 ‘국경없는 기자회’는 지난 7월 캐리 람(林鄭月娥) 홍콩 행정장관을 ‘(홍콩에 대한) 중공의 언론 탄압에 동조한다’는 이유로 언론 자유를 억압하는 ‘약탈자’(predators) 명단에 올렸다.
디지털뉴스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