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중국 정부가 월소득 2000위안(약 33만원)을 ‘중산층’으로 정의해 논란이 일고 있다.
8월 27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최근 중국 국가통계국은 소득계층과 여가생활의 관계를 분석한 보고서에서 이 같이 규정했다.
보고서는, 월 소득 2천 위안(약 33만원) 미만을 '저소득층'으로, 2천 ∼5천 위안(약 83만원)을 '중산층', 5천∼1만 위안(약 166만원)을 '상대적 고소득층', 1만 위안 이상을 '고소득층'으로 각각 정의했다.
이에 대해 웨이보(微博·중국판 트위터) 등에서는 네티즌들의 야유와 비난이 쏟아졌다.
한 네티즌은 “어쩌구니가 없다”며, “(나는) 한 달에 3천 위안(약 50만원)을 버는데 먹고 살기 힘들다. 나는 저소득층이라고 느낀다. 중산층에 해당한다는 건 말도 안 된다”고 반박했다.
베이징에 산다는 다른 네티즌은 관영 글로벌타임스에 "2000위안으로는 생활은커녕 월세도 낼 수 없다"고 밝혔다.
이번 보고서와 함께 국가통계국장의 발언도 논란을 키웠다.
닝지저(寧吉喆) 국가통계국장은 최근 중국 국민의 소비 여력을 강조하며, 이것은 무역전쟁으로 인한 경기둔화를 막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닝 국장은 "전형적인 (중산층) 3인 가구는 10만∼50만 위안(약 1천660만∼8천300만원)의 연 소득을 올린다"며 "이러한 가구 수는 1억4천만 가구, 인구로는 4억 명에 달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이러한 수입층은 “자가용과 아파트를 사고 여행을 다닐 수 있는 여유를 지닌다”고 덧붙였다.
중국 정부가 중산층에 대한 공식적인 정의를 내린 적은 없지만, 세계은행에 따르면 중국의 2017년 1인당 국가총생산(GDP)는 8827달러(약 987만원)다.
월 소득 2000위안은 연 소득으로 환산하면 약 3556달러(약 398만원)에 해당해 상식적으로 ‘중산층’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국가통계국은 시민들의 반발이 거세지자 “중산층에 대한 정의는 이번 보고서에만 적용된 용어"라며 "일반적인 소득 계층 개념과는 아무 관련이 없다"고 해명했다.
디지털뉴스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