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중국이 전 세계에서 ‘생체정보 수집·활용’을 가장 많이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19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이 같은 사실은 영국 보안업체 '컴페리테크'(Comparitech)가 발표한 조사 보고서에 따른 것이다.
'컴페리테크'는 지난달 발표한 보고서에서, 세계 96개국에 대한 ‘생체정보 수집·활용 정도’를 조사한 결과 중국이 가장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코스타리카, 이란, 미국이 그 뒤를 이었다고 밝혔다.
현재 각국에서는 중공 바이러스(코로나19) 팬데믹과 맞물려 공공분야와 상업 분야를 막론하고 안면인식·지문채취 등 생체정보 수집·활용이 광범위하게 진행되고 있다.
특히 중국은 생체정보 수집 활동에 도를 넘는 비정상적 행보를 보이고 있어 국내외에서 비판의 목소리가 이어지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당국은 중공 바이러스 팬데믹 방지를 이유로 안면인식 카메라, 드론 등을 활용해 주민들의 활동을 감시하고 무차별적인 생체정보 수집을 강화하고 있다.
SCMP는 중국에서는 무단횡단 단속이나 공공 화장실의 화장지 도난 방지를 위해서도 안면인식 감시 카메라를 사용하며, 상점 등에서의 각종 결재도 사용자의 지문이나 안면을 스캔하는 등 방식을 사용하고 있어 생체정보 활용이 급증하고 있다고 전했다.
중국은 또 버스 등 대중교통에도 승객의 얼굴 촬영과 체온 측정을 위해 버스에 카메라를 설치했고, 마스크를 착용한 사람의 신원도 파악할 수 있는 안면인식 기술을 개발 중이기도 하다.
중국뿐만 아니라 기타 국가에서도 공공분야와 상업 분야를 막론하고 안면인식·지문채취 등의 생체정보 수집 행위가 광범위하게 이뤄지고 있다.
중국은 이러한 데이터에 대한 허술한 관리로도 문제가 되고 있다. 사람들의 생체정보를 가장 광범위하게 침해하지만 해당 데이터 보호장치는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SCMP는 생체정보의 과도한 수집과 광범위한 사용 탓에 (중국에서는) 안면 영상과 신분증번호, 전화번호 등 개인정보가 쉽게 유출되고 터무니없는 헐값에 거래되기도 한다고 지적했다.
앞서 관영 신화통신도 지난해 7월 온라인에서 안면인식 정보가 건당 0.5위안(약 85원)에 거래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지난달 관영 매체인 '베이징 뉴스 싱크 탱크'(Beijing News Think Tank)가 중국인 1천51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얼굴인식’ 관련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87.46%가 상업지역에서 얼굴인식 기술이 사용되는 것을 반대했다.
컴페리테크가 진행한 조사에서 에티오피아와 포르투갈, 아일랜드는 생체정보 수집 규정과 데이터 보호 측면에서 가장 모범적인 국가로 꼽혔다. / 연합뉴스
디지털뉴스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