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허베이성에서 4일 만에 공식 발표된 숫자만으로도 백 명이 넘는 사람들이 중공 바이러스에 감염됐다.
지난 5일 저녁 허베이성은 중국에서 유일하게 성 전체가 전시 상태에 돌입했다. 현지의 많은 슈퍼마켓은 생필품을 사기 위해 몰려든 시민들로 채소, 쌀, 밀가루, 기름 등이 품절됐다.
허베이성 내에선 중공 바이러스가 빠른 속도로 번지고 있다. 지난 4일 신규 확진자는 44명(14명 확진, 무증상 30명)이었으며 5일 신규 확진자는 63명(20명 확진, 무증상 43명)인 것으로 공식 집계됐다.
지난 6일 전염병이 폭발한 가오청(藁城)구 전 구역은 고위험지역으로 조정됐으며 스좌장(石家莊)시는 시민 전체의 핵산 검사를 시작했다. 허베이성 위생건강위원회(위건위)는 6일 의료진 1000명을 긴급 차출했으며 7일에는 2000명을 추가로 지원할 예정이다.
이 밖에 6일부터 허베이를 지나는 여러 고속도로가 교통 통제에 들어가 이용이 금지된다. 스좌장 터미널도 일시적으로 운영이 중단됐다. 스좌장 공항에서 시내 및 주변 지역까지 운행하는 직통버스 운행도 6일부터 일시 중지됐다.
스좌장 공항은 6일부터 이날 기준으로 72시간 내 핵산 검사 음성 증명서를 소지해야 탑승할 수 있다고 밝혔다. 항공 데이터 서비스 제공 애플리케이션 ‘VariFlight’의 데이터에 따르면 이날 공항에서는 도착 항공기 64편, 출발 항공기 57편이 각각 취소됐다.
인터넷에 올라오는 소식에 따르면 밤새 많은 시민이 도시를 떠났지만, 허베이 스좌장 번호판을 단 차량은 예외 없이 베이징을 경유할 수 없었다. 이 밖에 스좌장에서 출발한 열차는 베이징으로 들어갈 수 없지만 남하하는 열차는 원활히 운행 중이다.
한 네트즌이 올린 영상에 따르면 허베이 스좌장 번호판의 모든 차량은 베이징 외곽에서 막혀 탕산(唐山)시를 우회해야 했고 베이징을 지나는 것은 물론 진입도 불허했다.
스좌장 일부 대학도 6일부터 긴급 휴교에 들어갔다. 한 학생은 매체에 오후에 시험이 있었지만, 정오쯤 시험이 취소됐다는 소식과 함께 바로 방학에 들어갔고, 학교로 돌아갈 날짜는 통지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허베이성의 이번 중공 바이러스 감염은 제일 처음 가오청(藁城)구 정춘(增村)현 샤오궈장(小果庄)에서 시작됐다. 며칠 사이 공식적으로 발표된 숫자만 100명 이상이지만, 중공이 전염병 상황을 은폐로 일관한 점을 감안하면 실제로는 더욱 심각한 상황일 수 있다.
샤오궈장의 마을 주민 린궈(가명) 씨는 에포크타임스에 현재 전염병 발생 상황이 심각해 이들 마을과 주변 마을 모두 봉쇄됐다고 밝혔다. 이들은 2일부터 지금까지 집 밖으로 나오지 못했지만 매일 핵산 검사를 받아야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가오청구 정춘현 베이치아오자이(北橋寨)에서도 확진자가 나와 마을이 봉쇄됐다. 현지 시민인 한 여성은 현재 마을이 수일째 봉쇄되어 어디도 갈 수 없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사태가 터지면서 스좌장 시민들은 지역 봉쇄에 따른 식량 부족을 우려해 지난 5일 현지 슈퍼마켓을 찾아 쌀, 밀가루, 기름, 고기, 계란, 우유, 야채, 과일, 라면 등 생필품을 사재기했다.
관영 매체는 공급이 충분하다고 발표했지만 현지 네티즌들은 웨이보에 시장과 슈퍼마켓의 진열대가 텅 비었고 제품들의 가격이 올랐다고 밝혔다.
인터넷 소설 작가인 징추공즈(荆楚公子)는 “2021년이 이런 식으로 시작되리라고는 상상도 못 했다. 내 고향 허베이 스좌장에서 또다시 신종 코로나가 발생해 3~4일 만에 성내 100명 이상이 감염됐다”r고 밝혔다.
그는 “1월 5일 저녁 내가 퇴근하고 야채 시장에 갔더니 안에 엄청 많은 사람들이 각종 쌀이랑 채소를 사재기하고 있었다. 시장 내 모든 물건이 거의 다 팔렸다. 당시 나는 많이 사진 않았는데 모두가 이렇게 미쳐 있을 줄 생각도 못 했다. 결국 1월 6일 아침이 되자 시 전역과 마을이 모두 봉쇄됐고 사흘 동안 전원이 핵산 검사를 받아야 했다”고 한탄했다.
시민들이 시장이나 마트에서 사재기하는 것 외에도 ‘메이투안’(美團), ‘어러마’(餓了嗎) 등 배달 앱의 식료품 역시 품절됐다. / 에포크타임스
디지털뉴스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