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중국 당국의 무분별한 ‘안면인식’ 시스템 도입으로, 관련 정보의 불법 거래 횡행해 중국인들의 개인정보 안전이 위협받고 있다.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온라인 몰 ‘타오바오(Taobao)’와 벼룩시장 앱 ‘샨위(閑魚)’ 등에서는 대량의 중국인 얼굴 사진을 포함한 주요 개인정보가 헐값에 거래되고 있다.
판매자들이 내건 흥정 문구와 가격은 다양하지만, 공통점은 사진을 포함한 주요 개인정보들이 말도 안되는 헐값에 팔리고 있다는 것이다.
샨위의 한 개인정보 판매업자는 ‘개인의 이름과 신분증 사진, 휴대폰 번호, 은행카드’ 등을 묶어 개당 4위안(약 660원)에 내놓기도 했다.
중국에서는 CCTV에 포착된 얼굴사진 만으로도 수분 내에 수억 명 가운데 해당 인물을 검색할 수 있다.
이런 사진은 흔히 휴대폰 번호, 은행카드, SNS 계정 등과 함께 거래돼 위험성이 더욱 크다.
이러한 개인정보 불법 판매와 관련해, 중국 온라인에서는 ‘4종세트’, ‘8종세트’라는 단어를 쉽게 찾아볼 수 있다.
4종세트는 ‘신분증, 휴대폰 번호, 은행카드, 인터넷 뱅킹용 USB 보안 키’를 가리키며, ‘8종세트’는 여기에 위챗(중국판 카톡) 등 SNS 계정 정보가 추가된 것이다.
이러한 개인정보 불법 판매는 사생활 침해뿐 아니라 보이스피싱 등 범죄에 이용될 수 있어 문제가 한층 더 심각하다. 그밖에 인터넷 대출이나 사기 목적 등에 사용될 위험도 있다.
중국에서는 다방면에서 안면인식 기술이 사용되고 있다. 사무실 입실, 호텔 체크인, 휴대전화나 PC 로그인, 요금 지불, 심지어 공중 화장실에서 화장실 휴지를 사용하는 것까지도 얼굴 스캔을 요구하고 있다.
안면인식 시스템은 당국의 인권탄압 수단으로도 사용되고도 있다.
이와 관련해 미 정부는 지난해 10월 중국 당국의 신장 위구르 탄압에 기술을 제공한 센스타임(상탕과기(商湯科技))과 메그비(Megvii, 광시과기(曠視科技)) 등 안면인식 관련 업체를 제재 대상에 올렸다.
중국 당국은 우한폐렴(코로나19) 사태도 주민 감시 기회로 활용하고 있다.
로이터 통신은 지난 8월 31일, 중국의 많은 대학에서는 최근 팬데믹 방지를 이유로 감시 카메라 등 감시 기기를 대량 설치해 학생들의 일거수일투족을 주시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도현준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