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중국 공산당(이하 중공)의 홍콩 국가보안법(이하 홍콩보안법) 시행으로 홍콩 교육환경이 친중적 세뇌와 감시에 시달릴 것이라는 우려가 나왔다.
19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 등 외신에 따르면, 홍콩보안법이 시행된 후 반정부 시위를 지지한 홍콩 교사들에 대한 징계가 늘고 있다.
디오구산여학교에서 4년간 근무한 교사 레이먼드 영은 지난해 민주화 요구 시위에 참석했다가 경찰에 체포된 것과 관련해 학교 측으로부터 계약 종료를 통보받았다고 WSJ에 말했다.
영은 학생들에게 시사 문제에 대해 자유로운 사고와 의견을 가질 수 있도록 지도해왔다. 이에 대해 중공과 지방 관리들은 영이 학생들을 정치화한다고 비난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영은 이러한 상황에 대해 “홍콩보안법 시행으로 앞으로 교단에서는 △중국의 인권 및 활동 △공산당의 일당지배뿐 아니라 심지어 자연재해에 대한 소식도 말할 수 없게 될지 모른다”고 말했다.
관측통들은 중공이 홍콩의 민주와 자유 요구를 억누르기 위해, 비판적 사고 능력에 대한 홍콩의 교육을 친중국 교육과 정치적 담론 탄압으로 바꿀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지난 1일부터 시행된 홍콩보안법은 홍콩보안법은 외국 세력과 결탁, 국가 분열, 테러리즘 등을 금지·처벌하고 홍콩 내에 이를 집행하는 기관을 설치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또한 법 집행 기관에 광범위한 감시 권한을 부여하고 국가전복과 분리주의 지지자들을 기소·처벌할 수 있도록 했으며, 학교에 대한 감독 강화와 규제도 요구하고 있다.
정부 소식통에 따르면, 홍콩송환법 반대 운동과 관련해 지난 1년 동안 약 100명의 교사와 3000명 이상의 초·중·고, 대학생들이 체포됐다.
홍콩 정부는 교사들이 학교에서 사회불만을 조장하고 있다고 지적했지만 친민주 성향의 입킨윈(葉建源) 입법회 의원은 “홍콩의 교사들은 홍콩보안법 시행으로 자신들의 수업와 과제, 시험 등이 조사받을 것을 매우 우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홍콩전문교직원노조의 지난 6월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 1185명 중 92.4%가 정부의 정치적 압박을 느낀다고 답했고, 80.3%는 수업 중 민감 사안에 대한 토론을 피하고 있다고 답했으며, 91.8%는 향후 교육환경 및 시스템이 더 악화할 것으로 전망했다.
펑웨이 노조 위원장은 “(홍콩보안법 실행으로) 홍콩의 교실은 머지않아 중국 본토의 교실과 별 차이가 없어질 것”이라고 토로했다.
구본석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