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중국 후베이성 당국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진원지인 우한을 중심으로 확산하는 ‘부적절한 온라인 게시물’을 단속하기 위해 1,600명 이상의 인터넷 감시원을 동원했다는 내부 문서가 흘러나왔다.
지난 15일 작성된 것으로 보이는 이 보고서는, 코로나19로 ‘주전장(主戰場)’이 된 인터넷에 대한 여론 조작과 언론통제를 강화한 성과를 정리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후베이성 위원회 선전부는 ‘전시 선전 지휘부(대책본부)’를 설립해 여론 유도, 이데올로기 통제 등 11개 공작팀을 설치하고, 전 팀이 24시간 태세로 중앙정부의 관련 부문과 연계해 ‘선전 교육과 여론 유도를 확보’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선전부는 또 1,600명 이상의 감시원을 동원한 24시간 검열을 시행해 60만6800건의 ‘민감 화제에 관한 유해 정보’를 적발한 것으로 알려졌다. 적발된 게시물은 신속히 삭제되며 오프라인을 통한 타격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단속 대상에는 당국의 외출 금지로 온라인을 통해 자신의 상황을 호소하며 도움을 청한 시민들도 다수 포함된 것으로 알려져 안타까움을 더하고 있다.
당국은 해외 기자들의 현지 취재도 막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초 33개 해외 통신사의 약 60여명의 기자가 우한 상황을 취재하기 위해 현지를 찾았으나 이 중 약 47명이 당국의 ‘충고’와 ‘설득’으로 철수했다.
지난달 15일에는 홍콩 RTHK 등 일부 매체 기자들이 감염자 치료 지정병원 인근에서 취재했다는 이유로 전원이 경찰서에 연행됐고 촬영 영상을 삭제하도록 강요당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의 중국 주재 기자 3명은 중국 당국의 코로나19 대응을 비판하는 기사를 게재했다는 이유로 지난 19일 당국에 의해 추방됐다.
이처럼 후베이성 선전 당국은 해외 매체에 대한 단속을 강화하는 한편 영어, 프랑스어 등 7개 국어로 당국의 입맛에 맞는 코로나19 관련 뉴스를 약 200건 가까이 게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연화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