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한 우한 폐렴이 중국 전역으로 급속히 확산하는 가운데 중국 당국이 발표하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사망자 수가 실제보다 축소됐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3일 중국 차이신(財信), 홍콩 명보, 빈과일보 등에 따르면 중국 국가위생건강위원회(위건위)는 이날까지 사망자 수가 361명이라고 밝혔지만 실제 사망자 수는 이보다 훨씬 많을 것이라는 견해가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견해를 뒷받침하는 네티즌의 영상도 현지 SNS에 게시됐다. 우한(武漢) 제5병원 입구에서 촬영했다고 밝힌 영상에는 약 5분간 8구의 시신이 자루에 담겨 병원 밖으로 실려 나갔다.
이 네티즌은 자신이 확인한 병원 상황과 의료진의 말을 인용해 병원 내부에도 시신이 많았다고 밝혔다.
아이디 명이 ‘팡빈’으로 알려진 이 네티즌은 지난 1일 이 영상을 트위터에 올렸다가 당국에 체포돼 다음 날 풀려났다.
현지 언론들도 “우한과 인근 도시에서 중증 환자가 가장 많이 발생하고 있지만 현지 병원과 의료시설 및 약품 등이 턱없이 부족해 사망자 수가 계속 늘고 있다”고 지적했다.
차이신은 현지의 전염병 전문병원 책임자를 인용해 “최근 이틀 간 폐부 감염 환자 80여명이 병원을 찾았지만 5명만 겨우 입원했다”며, 나머지 환자는 집으로 발길을 돌려야 했다고 전했다.
또 다른 지정병원 의사는 “600명의 중증 환자가 있었지만, 검사 재료인 핵산 검사지가 부족해 단 한 명의 확진 판정도 내리지 못했다”고 밝혔다.
이러한 상황은 치료가 시급한 환자들에게 가장 치명적이지만 정확한 사망자 집계를 방해하는 작용을 하기도 한다.
병원에서 검진을 통해 우한 폐렴 ‘확진’ 판정을 받지 못하고 사망할 경우 ‘보통폐렴 사망자’나 ‘미확진 사망자’ 등으로 처리되기 때문이다.
우한 및 인근지역의 절대적인 의료시설 부족 상황으로 볼 때 정부의 공식 집계 기준에 포함되지 않은 사망자 수는 상상을 초월할 수 있다.
더구나 이러한 사망자들의 시신은 당국이 즉시 화장해버리기 때문에 사망자의 사인이 우한 폐렴에 의한 것이라도 그것을 입증할 기회가 없게 된다.
우한의 한 장례업체는 "시신을 담을 자루가 부족하니 기증해달라"고 공개적으로 요청한 것도 이러한 의혹을 뒷받침한다.
우한의 사망자 수가 당국의 발표대로 라면 시신을 처리할 자루가 부족할 수 없다는 이유에서다.
우한 폐렴 치사율이 사스(SARS·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보다 훨씬 낮다는 위건위의 주장도 의심받고 있다.
중국 위건위는 3일 0시 현재 전국 31개 성의 우한 폐렴 누적 확진자와 사망자를 각각 1만7천205명, 361명이라고 발표했다.
이는 치사율로 따지면 2%로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 치사율(30%)과 사스 치사율(10%)보다 현저히 낮지만 이를 부정하는 주장이 나왔다.
최근 우한 진인탄(金銀潭)병원과 상하이교통대, 루이진(瑞金)병원이 공동 연구해 의학 전문지 랜싯(The Lancet)에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지난달 1∼20일 확진 판정을 받은 환자 99명 중 11명이 사망했다.
이는 치사율이 11%에 달한다는 뜻으로, 우한 폐렴 치사율이 당국 발표보다 훨씬 높을 것이라는 추정을 뒷받침한다.
우한 폐렴이 당분간 계속 확산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홍콩대 의학원 가브리엘 렁 원장이 이끄는 연구팀은 우한 폐렴 확산에 대한 컴퓨터 시물레이션 추산 결과를 토대로 “확진자 1명이 주변인 2∼3명에게 병을 전파하고 있으며, 이러한 속도가 유지되면 6.4일 만에 감염자 수가 2배로 늘어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연구팀은 이를 근거로 지난달 25일까지 우한 내에서만 7만5천815명의 감염자가 발생했을 것으로 추론했다.
렁 원장은 우한 폐렴 확산 전파력에 대해 “기세가 누그러지지 않을 경우 4월에 절정을 이룰 것으로 내다봤다.
한편, 지난달 28일 중국 SNS에는 후베이성의 한촨(漢川)시, 이창(宜昌)시, 징저우(荊州)시 등에서 ‘불길한 징조’로 여겨지는 까마귀 떼가 출몰한 영상이 동시해 올라와 정부의 사망자 집게는 빙산의 일각이라는 주장들에 힘을 보태기도 했다.
구본석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