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인 '우한 폐렴'이 중국 전역은 물론 전 세계로 확산하면서 중국 당국의 초기 대응 부실이 재앙을 키웠다는 비판이 이어지고 있다.
이는 지난 2003년 사스(SARS·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대유행을 연상케 해 당시처럼 감염자 정보를 축소하고 은폐하려고 했다는 질타가 쏟아지고 있다.
사스는 지난 2002년 말 중국 남부 지역을 시작으로 해외로까지 확산해 37개국에서 8천 명을 감염시키고 774명의 목숨을 앗아갔다. 당시 사태에 대해 중국의 정보 은폐 및 언론 통제가 피해를 키웠다는 게 지배적인 분석이다.
사스는 2002년 11월 16일 광둥성 포산 지역에서 처음 발병했지만, 당국은 이에 대한 상황을 무려 45일이 지난 2003년 1월 말에 보도했다.
이어 발병 5개월 만인 4월 10일에야 사스 발생을 공식적으로 인정했지만, 당시에도 환자 수 축소에 급급했다. 이러는 동안 사스는 중국 전역은 물론 대만, 싱가포르, 캐나다, 미국 등으로 맹렬히 퍼져나갔다.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등 홍콩 언론에 따르면 중국 당국은 지난달 12일 첫 환자가 발생할 당시 이를 인지하고 연구팀을 우한으로 파견해 화난 수산시장이 발병 근원지임을 밝혀냈다.
하지만 당국은 같은 달 31일까지 별다른 조처를 하지 않았고, 2주일이 지난 1월 1일에야 화난 수산시장을 폐쇄했다.
당국은 또 폐렴 감염자가 폭증 중인 지난 19일에도 우한의 대규모 춘제(春節·중국의 설) 행사를 예정대로 진행하도록 허가했다. 당시 행사에는 약 4만명이 모인 것으로 알려졌다.
홍콩 언론은 전날인 18일 선전, 상하이에서 우한 폐렴 환자가 치료를 받고 있다고 보도했지만, 중국 당국은 이에 대한 공식 확인을 계속 미뤘다. 당국은 또 15명의 의료진이 우한 폐렴에 무더기로 감염됐다는 사실을 은폐하기도 했다.
자신을 후베이성 의료진이라고 밝힌 한 여성은 유튜브에 방역복 차림으로 나와 “우한 폐렴 감염자 수가 9만 명에 이르며, 한 사람이 감염됐는데 제대로 된 격리와 치료가 이뤄지지 않으면 주변 14명이 감염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익명을 요구한 한 홍콩 전문가는 “중국은 민감한 사안이 발생하면 최고 지도자의 지시만을 기다리며 절대 움직이지 않는 관료주의의 전형을 보여준다”며, 감염자 정보를 은폐하고 축소하려고 했다는 비난에서 벗어나기 힘들 것이라고 지적했다. / YONHAPNEWS
디지털뉴스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