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홍콩에서 정부가 범죄인 인도법안(일명 송환법) 공식 철회했음에도 민주화 시위가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중국 당국이 시위 영향이 본토로 확산되는 것을 막기 위해 온라인 차단에 나섰다.
6일(이하 현지시간) 자유아시아방송(RFA) 중국어판에 따르면 중국 당국은 인터넷 통제시스템인 ‘만리방화벽’을 이용해 송환법 관련 보도와 검색을 단단히 통제하고 있다.
이러한 통제는 특히 지난 4일 캐리 람 행정장관의 송환법 공식 철회 선언 이후 한층 강화됐다.
RFA 현재 중국의 바이두 등 포털사이트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서는 홍콩 시위와 관련된 내용과 글, 사진 영상 등은 일제히 차단되고 있다. 웨이보 등 SNS에서는 댓글 기능이 부분적으로 차단된 상태다.
후난성 주저우시 경찰 당국은 최근 오른쪽 눈을 가리고 찍은 셀카 사진을 SNS에 올려 홍콩 시위대를 지지한 네티즌 20명을 경찰서로 불러 조사했다.
후난성 주저우시에서는 오른쪽 눈을 가리고 찍은 셀카 사진을 SNS에 올려 홍콩 시위대를 지지한 네티즌 20명이 경찰서로 불려가 조사를 받았다.
‘오른쪽 눈 가리기’ 포즈는 지난달 11일 한 여성 시위 참가자가 경찰이 쏜 빈백건에 맞아 오른쪽 눈이 실명 위기에 처하자, 이에 항의하는 시위대나 지지자들 사이에서 퍼포먼스가 됐다.
중국 관영언론들은 그간 홍콩시위에 대해 연일 비난과 함께 중국군의 개입 및 강경 진압 등을 주장해왔지만 람 장관의 송환법 철폐에 대해서는 간략한 언급에만 그치며, 대조된 모습을 보였다.
이에 대해 △홍콩 정부가 시위대에 ‘양보’했다는 인상을 주지 않으려는 의도가 있다 △중국 당국이 환법 철회를 반대하는 중국 인민들이 공산당에 분노할 가능성을 우려하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잇따랐다.
한지연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