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중국에서 최근 잇따른 ‘온라인 개인 간(P2P) 금융거래’ 업체 경영난과 도산으로 투자 피해자들이 급증하고 있지만 정부가 헤결책을 제시하지 못해 불만이 커지고 있다.
‘P2P’금융이란 전통적 의미의 금융회사를 거치지 않고 온라인을 통해 연결된 개인과 개인, 개인과 기업이 직접적인 거래를 수행하는 금융형태를 일컫는다.
7일(현지시간) <AFP통신>과 홍콩 <성도(星島)일보> 등에 따르면, 전날 중국내 온라인 P2P 대출업체의 경영난 등으로 큰 피해를 입고 있는 전국의 투자자 수백명이 청원 시위를 위해 베이징 금융가로 몰려들었지만 경찰에 의해 베이징 교외로 호송돼 구류 조치됐다.
이날 베이징을 찾은 투자자들은 SNS를 통해 네트워크를 구축했으며, 당국에 자신들의 입장을 전달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해줄 것을 요구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중국 당국은 이들이 시위를 벌이려던 베이징의 은행보험감독관리위원회 건물 주변 도로에 140여대의 버스를 동원해 시위를 차단했고, 경찰은 모든 시위자들을 버스에 태워 베이징 외곽으로 이송했다.
중국 인권활동가들에 따르면 이송된 시위 예정자들은 ‘헤이라오(黑牢)’라 불리는 비공식 구치소에 구류될 가능성이 높다.
베이징 외곽에 위치한 이곳은 각 지방에서 중앙 정부에 청원하기 위해 올라온 이들을 처리하는 임시 수용소로 당국은 통상 이곳에 한동안 사람들을 구류한 다음 각자의 거주지로 돌려보내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시위는 원래 전국에서 약 8천명 이상의 투자자들이 참가할 예정이었지만 각 지방 당국의 사전 조치로 실제 참석자가 크게 줄었다.
한 때 중국 전역을 휩쓴 P2P 대출은 고위험성임에도 수익이 높다는 이유로 큰 호황을 누렸지만, 최근 국가 경영란의 여파로 관련 업체들이 줄도산하면서 투자자들의 피해가 급증하고 있다.
관련 자료에 따르면, 현재 중국 전역의 P2P 대출업 투자자가 5천만명에 이르며, 사업 규모는 1천950억 달러로 추정된다. (사진: Epoctimes)
권성민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