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그인
    • 회원가입
    • 사이트맵
    • 05.16(금)
페이스북 바로가기 트위터 바로가기
  • 중국

  • 국제/국내

  • 특집

  • 기획

  • 연재

  • 미디어/방송

  • 션윈예술단

  • 참여마당

  • 전체기사

검색어 입력

中 지하철 ‘여성 전용칸’에 남성이 우글우글... 왜?

한지연 기자  |  2018-06-11
인쇄하기-새창


[SOH] 중국에서 시험 운영하는 지하철 ‘여성 전용칸’이 ‘사회적 인식 부족’과 ‘미비한 법 집행력’ 등으로 1년이 다 되어 가도록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5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와 중국 청년보 등에 따르면 중국 광저우시와 선전시는 지난해부터 6월부터 출퇴근 시간대에 운행하는 지하철에 ‘여성 전용칸’ 코너를 만들어 운영해왔다.


취지는 여성들이 혼잡한 출퇴근 시간대에 자주 발생하는 성추행 위험으로부터 벗어나 안심하고 대중교통을 이용하도록 하기 위해서다.


하지만 베이징청년보가 지난달 29일 퇴근 시간대에 맞춰 ‘여성 전용칸’ 사용 실태를 확인한 결과 탑승객의 3분의 2가 남성 승객이었다. 일반칸, 여성칸 구분 없이 탑승하는 남성들로 사실상 무용지물이 된 것이다.


당시 현장을 취재한 기자는 “탑승자가 몰리는 출퇴근 시간대에 ‘여성 전용칸’ 여부를 확인해 타거나 여성들의 입장을 배려해 이들이 먼저 탑승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공공 매너’와 ‘사회적 인식’은 턱없이 부족해보였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한 비난 여론이 커지자 광저우시 지하철 당국은 “출퇴근 시간에는 사람이 워낙 많이 몰리는 데다, 시간도 촉박한 만큼 배려와 양보가 잘 지켜지지 않는 것 같다”며, “시범기간 이후 여론을 수렴하고 필요에 따라 제도를 개선해 나가겠다”고 해명했다.


법적인 구속력이 없는 것도 이 제도 정착에 어려움을 더하고 있다.


NYT는 남성들이 ‘여성 전용칸’을 이용하는 것은 법적 구속력이 없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신문은 “중국 정부는 여성 차별을 금지하고 있지만 이에 대한 명확한 정의가 모호하고 단속 기준이 미비하기 때문”이라며, “이러한 사회 현상이 여성 전용칸이 정착될 수 없는 큰 이유”라고 덧붙였다.


‘여성 전용칸’ 계획은 올해 초 광둥성 양회(전국정치인민협상회의·전국인민대표대회)에서 나왔다. 아이를 데리고 탄 엄마나 임신부를 위한 여성 전용칸, 남성 노인과 장애인 등을 위한 남성 전용칸, 그리고 자유칸으로 구분하자는 제안이었다. 하지만 당국은 남성 역차별 논란 소지를 우려해 강제성이 없는 자발적인 제도로 운영해왔다.



한지연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목록  
글쓰기
번호
제목 이름 날짜
2581 “공짜란 없다”... ‘돈’ 받고 ‘도움’파는 씁쓸한 우정..
한지연 기자
18-09-28
2580 中 선전서 톈안먼 사태 이후 30년 만에 노동자·대학생 ....
이연화 기자
18-09-21
2579 취업난·저임금... 고국의 열악한 현실에 고민하는 하이....
권성민 기자
18-09-17
2578 中, P2P 파산으로 자살자 증가, 軍 내부에도 다수
권민호 기자
18-09-15
2577 中 대출업계... “주링허우(九零後)는 알짜 고객”
도현준 기자
18-09-14
2576 인구 감소에 놀란 中... ‘산아제한’ 부서 폐지
한지연 기자
18-09-14
2575 習, 아프리카 600억달러 지원 약속... 웨이보에 '불만' ....
한지연 기자
18-09-08
2574 후난성, 강제 전학 조치에 분노한 학부모 대규모 시위
이연화 기자
18-09-05
2573 달라진 中 가정교회... 교회탄압 중단 촉구 성명
권민호 기자
18-08-28
2572 고령화 탈출 시급한 中... ‘출산 장려금 강제 징수’ 제....
이연화 기자
18-08-21
글쓰기

특별보도

더보기

핫이슈

더보기

많이 본 기사

더보기

SOH TV

더보기

포토여행

더보기

포토영상

더보기

END CCP

더보기

이슈 TV

더보기

꿀古典

더보기
446,469,193

9평 공산당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