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전 국민 감시를 위한 ‘빅 데이터 구축’에 혈안이 된 중국 당국이 사람의 음성을 수집하는 ‘성문(聲紋)’ 데이터베이스 작업을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화권 언론 대기원 영문판의 최근 보도에 따르면 중국 당국은 스피커에서 수집할 수 있는 음성 기능과 식별 정보를 연결하는 ‘성문 인식 시스템’을 도입해 신원 증명, 의료, 교육, 금융 서비스, 교통, 관광 등에 사용할 예정이다. 이 시스템은 현재 구이저우성에서 시범 운영되고 있다.
이 시스템은 칭화대 정보기술 연구소와 베이징의 디어 이어 테크놀로지(Dear Ear Technology)사가 공동 개발했다. 개발팀은 “성문 인증은 사용이 간단하고 패스워드를 분실할 염려도 없으며, 도용될 위험도 적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에 대해 현지의 인권운동가, 반체제 인사, 일반 시민들은 당국이 첨단 기술을 내세워 국민들에 대한 감시를 계속 강화하는 데 대해 우려와 반발을 나타내고 있다.
마샤오밍(馬小明) 전 산시성 TV 감독이자 인권운동가는 “공산당은 사람들에 대한 감시를 위해 각종 첨단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이러한 것을 위해서는 돈을 아끼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중국 당국은 지난 수 년간 각종 방법을 이용해 국민 여론과 동향을 감시해왔다.
지난 1988년 인터넷 정보 통제 시스템인 ‘진둔공정(金盾工程, 그레이트 파이어 월)’을 통해 인터넷을 통한 자유로운 사상교류와 여론을 봉쇄했고, 인터넷 댓글 알바 집단인 우마오당(5毛党)을 대거 고용해 공산당 사상을 선전해왔다. 2014년에는 인터넷 컨텐츠 감시·검열을 위한 ‘사이버 스페이스 사무실’도 만들었다.
중국 정치 평론가 황허(横河)는 중국 공산당 정권은 현재까지 인터넷 검열과 정보 통제에 1,000억위안 (약 17조원) 이상을 썼다고 추산했다.
중국 당국은 효율적인 사회 감시를 위해 얼굴, 홍채, 지문, DNA 등 모든 방법을 동원해 데이터를 수집하고 있다.
중국에 거주하는 인지 과학자 웨인 얀 박사는 지난해 10월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중국 국민들은 당국의 숨막히는 감시에 둘러싸여 어떤 곳에서도 자신의 생각이나 의견을 편안히 말할 수 없다”며, “머지않아 그들의 사상과 언론의 자유는 완전히 봉쇄될지도 모른다”고 우려했다.
김주혁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