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OH] 중국 저장성 항저우와 쓰촨성 청두시, 안후이성 허페이시 등 대도시에서 최근, 투기 목적의 신축 주택 구매 수요가 늘고 있다고 중국 포털사이트 ‘봉황망(鳳凰網)’이 지난달 3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사이트는 부동산 전문가들을 인용해, “당국이 지난 2016년 9월부터 전국 부동산에 대해 가격 상승 억제 조치를 실시해왔으나, 각 지방 정부가 신축 주택 가격을 중고 주택보다 낮게 공급해 투기자들이 몰리면서 효과를 거의 거두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봉황망에 따르면 항저우 등 각 지역에서는 부동산 투기꾼들이 면적과 가격 상한이 설정된 저렴한 신축제한가 주택들을 앞다퉈 사들이고 있다.
청두에서는 한 부동산 판매 회사가 신축제한가 640 가구를 판매 개시하자, 무려 4만3953명이 몰려들기도 했다. 구매자들은 모두 현금으로 주택을 구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제한된 부동산 구입 희망자가 쇄도하는 상황이 계속되자, 항저우, 청두, 상하이 등 6개 지방 정부는 추첨으로 구입자를 결정하기도 했다.
이 보도에 따르면, 허페이시의 경우 신축제한가 물건 1채를 구입한 후 즉시 전매하면 약 40만 위안(약 6,800만원)의 차액을 얻을 수 있다.
신축 주택 매물 제고는 현재 항저우 등 ‘새로운 일선 도시(新一線都市)’로 불리는 비교적 규모가 큰 지역에 집중되어 있다.
봉황망은 당국의 구매 제한과 모기지 제한조치를 포함한 일련의 억제정책으로 주택 실수요가 후퇴됐지만, 현금을 일시불로 지불하는 투기자들을 막을 수는 없을 것이라며, 부동산 투기 붐은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고 관망했다.
이 보도에 대해 중국인 네티즌 ‘유랑유랑불우상(流浪流浪不憂傷)’은 “정부는 사기꾼!”이라며, “많은 지방 정부는 최근 인재 확보 명목으로 억제 조치를 완화했다. 시안의 주택 가격은 2017년에 배로 상승해, 이제는 사고 싶어도 살 수 없다. 국가에서는 주택 투기를 금지하겠다고 밝혔지만 각 지방에서는 오히려 주택 투기를 부추기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다른 네티즌 ‘세계종말(worldlend)’은 “산둥성 칭따오 까오신(高新) 구에서는 주택을 구입하려면 정리취안(整理券·일종의 주택 청약권)을 미리 사야 한다. 정리취안의 가격은 10만 위안에서 20만 위안(약 1,700만원에서 3,400만원)이다. 하지만 이것을 사더라도 현금을 일시불로 지불할 수 있는 사람에게 우선권이 주어진다”고 불만을 터트렸다.
그는 “당국은 비열하다. 겉으로는 부동산 시장을 안정시킨다고 하면서, 뒤로는 토지를 개발 업자에게 높은 가격으로 팔고 있다”고 비난했다.
봉황망은 전문가를 인용해, “2016년 가을 이후 실시된 부동산 억제 조치는 거의 효과가 없으며, ‘베이징, 상하이 등 일선 도시의 주택 가격은 오히려 상승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사진: XINHUA/NEWSIS)
하지성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