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OH] 베이징시가 2014년부터 살기 좋은 청정 국제도시를 만든다는 목표로 시행해온 농민공 등 하층민에 대한 강제 퇴거가 베이징 경제가 커다란 여파를 미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베이징시는 이 같은 목표로 2014년부터 저소득층 거주지의 공장, 학교, 도매시장 등을 시외로 이전하고 있으며, 작년 11월 베이징 남부 다싱구 신젠촌 화재를 빌미로 진행한 하층민 강제퇴거도 이 같은 작업의 하나로 이뤄졌다.
당시 철거 대상자의 정확한 수는 파악되지 않았으나, 홍콩 일간 <사우스차이나 모닝포스트(SCMP)>는 다싱·펑타이·창핑·하이뎬 등 베이징 각지에서 약 10만명 이상이 강제퇴거 당한 것으로 추정했다.
베이징시가 인구를 2300만명으로 줄이겠다는 계획을 실행하기 위해 약 15%의 주민 수를 줄이기 위해, 당시에 발생한 화재를 안전 문제를 명분 삼아 하층민 거주지에 대한 무자비한 강제 철거를 실행한 것이다.
철거반원들은 추위 속에 강제 단전, 단수를 하거나 한밤중에 습격해 집을 부수고 폭력적으로 겁을 주는 등 강압적 수단을 사용해 쫓겨나는 사람들을 더욱 절망스럽게 했다.
이에 대해 사회 각계에서는 분노와 비난이 쏟아졌다.
역사학자 장리판을 비롯한 100명 이상의 지식인들은 당국에 “무자비한 강제 철거”를 중단할 것을 요구하는 공개서한을 발표했고, 사회학자 쑨리핑 칭화대 교수는 웨이신을 통해 “비극적인 화재를 안전을 명분으로 사회적 약자를 쫓아내는 구실로 사용해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베이징에 거주하는 농민공은 시 전체 인구 중 약 30%를 차지한다. 이들은 대부분 택배나 보모 및 가정부, 쓰레기 수거, 주택 경비, 건설 노동자 등 ‘힘들고, 더럽고, 위험한’ 이른바 ‘3D’ 업종에 종사한다.
한 노동경제학자는 작년 말 신젠촌 화재로 많은 농민공들이 베이징에서 쫓겨나면서 베이징 경제에 여파가 미치고 있다며, “거대 도시에서는 이주 노동자가 없으면 도시의 기능이 제대로 돌아가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SCMP도 베이징시가 농민공들을 강제 퇴거한 후 해당 시의 소매업과 소규모 제조업이 영향을 받고 있으며, 전자상거래 붐의 기반인 택배업도 큰 혼란을 겪고 있다고 분석했다.
하지만 베이징시는 올해에도 ‘하층민 강제퇴거’를 계속 진행할 것으로 보인다.
25일 홍콩 <명보>에 따르면 베이징시 천지닝(陳吉寧) 시장대리는 전날 열린 베이징시 인민대표대회 보고에서 “베이징시는 지난해 5천985만㎡의 불법건물을 철거했고 1천992개 제조업체와 594개 시장, 2만9천 개의 노점(길거리 점포) 등을 시외로 이전했다”{면서, “올해에도 4천만㎡의 불법건물을 추가로 철거하고, 500개 제조업체와 40개 시영기업을 시외로 이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명보는 베이징시의 불법건물 철거로 시 인구가 17년 만에 처음으로 감소했다고 덧붙였다. (사진: NEWSIS)
박정진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