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중국 정부가 대가오염 방지를 위해 시행 중인 ‘석탄 사용 금지’ 조치로 북부지역 주민들이 혹독한 겨울을 보내고 있다.
5일(현지시간) <글로벌타임스> 등 중국 관영 및 일부 언론에 따르면 정부는 해마다 반복되는 겨울철 대기오염을 해결하기 위해 지난 2013년 ‘대기오염 방지를 위한 미세먼지 농도 감축 실행계획’을 수립하고, 난방용 석탄 사용을 2017년까지 천연가스·전기 등의 청정에너지로 전면 교체하겠다고 밝혔다.
이 계획 시한의 마지막 달인 12월에 들어서면서 수도 베이징(北京)을 비롯해 톈진(天津), 허베이(河北)성, 산시(山西)성, 산시(陝西)성, 스자좡 등 28개 도시의 300만 가구에 대해 교체 공사가 진행되고 있지만 각지에서 천연가스 부족사태가 속출해 주민들이 영하 10도 이하의 혹한에 떨고 있다.
석탄난방을 가스나 전기 난방으로 바꾸는 과정에서 비축량이 부족하거나 가스공급 파이프라인 건설이 지체되고 있기 때문.
허베이 스자좡(石家庄)시의 한 네티즌은 “지난달 28일부터 가스공급이 중단돼 추위에 떨고 있다”면서, 현재로선 언제부터 가스공급이 재개될지 알 수 없다"고 밝혔고, 다른 네티즌은 “강추위가 이어지고 있어 어쩔 수 없이 연탄이나 가스통으로 취사를 해결하고 있다”고 하소연했다.
일부 지역에서는 석탄 난방기구가 철거된 후 인력 부족으로 대체 난방시설을 설치되지 않은 경우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석탄 난방이 금지된 북부지역은 11월말부터 영하 15도 이하로 내려가는 곳이 많다.
이 같은 문제가 발생한 것은 지방 정부가 난방기구 교체에 앞서 가스 공급망을 확충하거나 가스 비축량을 늘리는 등의 선 작업이 미흡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미국의 중국어 신문 다지위안은 가스관 설치 지연과 천연가스 공급 부족 등으로 28개 도시의 1000명 이상의 주민들이 혹독한 추위에 내몰린 것에 대해 중국 정부의 무리한 ‘석탄 사용 정책’을 지적했다.
일부 언론과 전문가들도 천연가스 부족으로 최소 5년 안에는 새 난방시설 확충 정책이 완료되기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어, 해당 지역 주민들의 반발과 갈등을 초래할 것으로 점쳐진다.
박정진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