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OH] 베이징시 당국이 인구 억제와 도시 정비를 이유로, 개인 상점을 운영하는 지방 출신자들에 대한 추방 강화에 나섰다.
3일(현지시간) 미국 자유아시아 방송(RFA)은 베이징시 통계국이 발표한 자료를 인용해, ‘2016년 말부터 2020년까지 시내 상주하는 지방 출신자 수를 1244만 명에서 1085만 명으로 감소시킬 계획’이라고 보도했다.
이와 관련해 시 당국은 최근 시내 모든 관할구에 대해 지방 출신자 수를 더 억제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이에 따라 둥청구(東城區)는 2020년까지 구내 인구를 현재 수준에서 14만 명을 감소시킨다. 시청구(西城區)에서는 향후 5년 이내에 지방 출신 인구를 20만명 줄이고, 구내에 있는 몇 곳 농산물 노천시장을 철거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하이톈구(海淀區)는 향후 5년 이내에, 50만명의 인구 감소를 목표로 하고 있고, 하이톈구의 8개 기업과 12곳 시장은 구내에서 철수를 결정했다.
또 순이구(順義區), 베이징 교외의 스샤구(市轄區)도 지방 출신자에 대해 엄격한 유입제한을 지시했다. 따싱구(大興區)의 치우셴(求賢) 마을에서는 지방 출신자용 아파트 임대료가 매월 2000 위안(약 33.5만원)으로 인상되었다. 현재, 농민의 평균 연수입이 10만위안 정도인 것을 감안하면 임대료 인상으로 지방 출신자가 베이징에서 생계를 유지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해졌다.
한편, 당국의 추방 계획에 정통한 소식통은 RFA에 “베이징의 ‘아오베이농마오(奥北農貿)’시장에서만 강제 철거로 각 점포 합계 6000만위안 (약 100억원)의 손실을 입었지만 당국은 점포가 불법건물이라며 보상금 지불을 거절했다”고 밝혔다.
이 소식통은 또 “당국은 지방 출신자들이 입주한 건물에 입주자 모집 관고를 붙인 후, 기존에 살고 있는 주민을 강제로 쫓아내는 경우도 비일비재하다”며, “그에 비하면 건물이 직접 철거되는 경우는 비교적 적다”고 덧붙였다.
지난달 23일, 베이징 시내에서는 두 시장의 점포 주인들은 각 시장에서 당국에 매장 강제 해체와 보상금 미지급에 반발해 항의를 했지만 경찰은 이들을 강제로 진압했다.
RFA는 시 당국이 지방 출신자를 사회 불안 요인으로 보고 있어, 향후 단속을 더욱 강화할 것으로 전망했다. (사진: 온라인 커뮤니티)
김주혁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