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OH] ‘중국이 앞으로 5년 내 ’무현금 사회‘가 될 가능성이 크다’고 마윈(馬雲) 중국 알리바바그룹 회장이 전망했다.
3일(현지시간) 중국 경제지 21세기 경제보도에 따르면 마 회장은 전날 중국 선전에서 열린 IT 정상회의에 참석해 개막 연설에서 이 같이 밝혔다. 스마트폰을 통한 결재가 빠르게 늘면서, 각종 온라인 결제 플랫폼이 이용률이 급증하고 있기 때문이다.
마 회장은 연설에서 “이로 인해 앞으로 10년간 소매, 제조, 금융, 기술, 에너지 등 5개 업종의 변화가 가속화할 것”이라며, “핀테크를 중심으로 한 신금융 업무의 80%가 소비자, 중소기업을 위해 운영될 것”으로 내다봤다.
마 회장은 “요즘은 거지마저도 QR코드를 이용해 돈을 받는 상황”이라며, “최근 항저우(杭州)에서 체포된 강도 2명이 ‘슈퍼마켓 세 곳의 금고를 털어 고작 1천800위안(29만원)의 현금을 챙긴 사례를 보아도 비현금 결재가 대중화 되는 상황을 잘 알 수 있다”고 덧붙였다.
알리바바는 지난 2004년 12월 모바일결제 서비스인 알리페이(支付寶·즈푸바오)를 출시한 이후 작년 말 현재 중국에 4억5천만명의 실명 사용자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들 중 71%가 알리페이를 통해 결재하고 있다.
온라인 쇼핑, 개인간(P2P) 대출 등을 중심으로 성장하고 있는 중국의 모바일 결제시장은 현재 알리페이와 텅쉰(騰迅·텐센트)그룹의 위챗페이가 주도하고 있으며, 지난해 결재 규모는 38조 위안(약 5조5천억 달러, 6천320조원)에 달한다. (사진: 온라인 커뮤니티)
권성민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