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로 다가온 ‘6·4 톈안먼(天安門) 민주화 사태’ 27주년... 中 당국, 관련자 엄중 통제
편집부 | 2016-06-03
[SOH] “중국 정부가 내일로 다가온 ‘6·4 톈안먼(天安門) 민주화 사태’ 27주년을 앞두고 관련자들과 관련 활동에 대한 통제를 최고 수준으로 높이고 있다”고 영국 일간지 <가디언>이 2일(현지시간) 보도했습니다.
가디언에 따르면 최근 중국 베이징(北京)에서 시민 몇명이 톈안먼 사태를 추모하기 위해 ‘국가의 상처를 잊지 말자’는 피켓을 들고 소규모 추도식을 진행했다가 최소 3명이 당국에 구금됐습니다.
중화권 매체 둬웨이(多維)도 “‘톈안먼 어머니회’의 발기인이자 전 런민(人民)대 철학과 교수인 딩즈린(丁子霖)이 최근 가택 연금됐다”면서, “그의 전화와 인터넷이 1일부터 끊어졌다”고 전했습니다.
‘톈안먼 어머니회’는 1989년 당시 톈안먼 광장에서 정치 개혁을 요구하던 군중들이 군의 무력 진압으로 1만5000명 이상 사망한 ‘톈안먼 사태’ 유가족들이 결성한 모임입니다.
이 단체는 1일 공개서한을 통해 “회원들이 당시의 학살을 감추려는 당국에 의해 감시받고 구금되었으며, 위협받고 있지만 진실을 알리려는 노력을 계속할 것”이라며, “당국이 진실을 은폐해 계속 죄를 짓는 것을 중단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충칭(重慶)에서는 한 시민이 인터넷에 톈안먼 사태에 대한 글을 올렸다가 경찰에 연행돼 10여 시간 조사를 받았고, 산둥(山東)성에선 산둥대 퇴직 교수인 쑨원광(孫文廣) 등 10여 명의 인권활동가는 톈안먼 사태 기념식을 준비하다 발각돼 가택연금됐습니다. 또 쓰촨(四川)성 청두(成都) 식당업주 푸하이루(符海陸)는 지난달 28일 중국 술 라벨에 톈안먼 27주년을 기념하는 라벨을 붙여 SNS에 올렸다가 공안에 체포되는 등 당국은 ‘톈안먼 사태’와 관련된 인물과 움직임에 대해 예민한 통제를 진행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