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중국의 유명 황사 발원지 중 하나인 네이멍구(內蒙古)의 호수 중 3분의 1이 지난 20년 간 가뭄 등으로 인해 고갈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1일 중국신문망(中國新聞網)에 따르면 중국의 과학 분야 최고 학술기관인 국립 중국과학원 연구팀이 1987년부터 2010년까지 몽골고원에 산재해 있는 면적 1만㎡ 이상 호수 785개에 대해 조사한 결과 208개(26.5%)가 가뭄 등으로 완전히 고갈됐습니다.
이번 조사에 따르면 몽골고원 호수 중 중국 국경 내에 위치한 호수는 전체의 17.6%(63개)가 고갈됐지만 중국 네이멍구자치구 지역 내의 호수는 무려 34%(145개)가 고갈됐습니다.
이 같은 상황에 대해 조사 책임을 맡은 중국과학원 팡징윈(方精雲) 원사는 "네이멍구 지역에서 많은 호수들이 사라진 것은 지구 온난화와 가뭄, 석탄 채굴과 농업·목축업 등에 대량으로 용수를 사용했기 때문"이라고 말했습니다.
조사팀의 자료에 따르면 네이멍구 지역중 초원 지역의 호수 면적 감소 원인은 석탄 채굴에 따른 과도한 용수 사용(64.6%)이 가장 컸고, 농·목축업 병행 지역에서는 관개용수의 과다 사용(80%)이 가장 큰 원인입니다.
핑 씨는 “네이멍구 지역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중앙 정부와 지방 당국이 장기적인 안목에서 수자원과 광물자원을 신중히 관리하는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지난 수년간 가뭄이 이어지고 있는 중국에서는 공업·농업용수 사용을 위해 곳곳에 댐과 저수지를 건설하는 등 무분별한 수자원 관리로 인해 북부 지역에서 발생한 사막화가 남부 지역으로 빠르게 퍼지고 있으며, 급격한 도시화에 따른 인구 밀집화로 지하수가 고갈돼 여러 도시에서 씽크홀(갑자기 땅이 꺼지는 지반 침하 현상)이 급증하고 있습니다.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