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그인
    • 회원가입
    • 사이트맵
    • 07.24(목)
페이스북 바로가기 트위터 바로가기
  • 중국

  • 국제/국내

  • 특집

  • 기획

  • 연재

  • 미디어/방송

  • 션윈예술단

  • 참여마당

  • 전체기사

검색어 입력

韓 경제 ‘스태그플레이션’ 우려... 채소·과일 가격 껑충

디지털뉴스팀  |  2025-01-19
인쇄하기-새창
[SOH] 설 명절을 앞두고 주요 성수품 중 채소와 과일의 가격이 급등하면서 스태크플레이션(물가 상승 및 경기 후퇴 동시 발생) 우려가 커지고 있다.

7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와 축산물품질평가원 등의 설 10대 성수품 소비자 판매가격에 따르면, 전날 기준 무는 1개에 3330원으로 1년 전(1807원) 대비 84.3% 상승했다. 비슷한 통계도 뒤따른다. 지난 5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을 보면 지난해 신선식품 지수는 전년 대비 9.8% 상승했다. 

이 중 채소류는 27개 품목 중 21개 품목(77.8%)의 가격이 상승했다. 이 중 배추(25%)와 무(24.5%)는 급등하며 채소 가격 상승을 주도했다. 당근(20.9%)과 토마토(21%) 역시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과일 가격도 상황은 다르지 않다. 후지 사과 10개 기준, 평균 소매가격(6일 기준)은 3만 1200원으로 전년 대비 6.8% 상승했다. 도내 배(신고) 가격도 10개에 3만 7450원으로 전년 대비 11.2% 상승했다.

설 성수품 10대 품목 중 다수의 품목에 가격 이상 징후가 발생한 셈이다. 설 성수픔 10대 품목은 △배추 △무 △사과 △배 △소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계란 △밤 대추 등이다. 채소와 과일 가격이 상승한 데 대해선 작년 여름철 이상기후로 인한 생산량 감소가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경제계에서는 정부를 향해 민생 안정을 촉구했다. 경제계 관계자는 이날 기자와의 통화에서 “물가가 오르면 살기 힘들어지는 것은 서민”이라며 “현재 정치 불안과 내수 침체로 서민들의 삶은 팍팍한데 민생 물가마저 오르면 한국 경제의 어느 한 축이 무너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정부는 전방위적 행정력 동원을 예고했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국무회의에서 “모든 부처는 민생경제 회복에 필요한 사업은 예산 집행에 즉시 착수하고, 소비·건설·관광·지역경기 등 내수 회복 대책들을 신속하게 추진해 주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최상목 권한대행은 “어려운 민생경제가 최근의 정치적 상황과 맞물리며 더욱 얼어붙을 우려가 커지고 있어 정부의 가용자원을 총동원해 민생경제 회복에 총력을 기울여야 할 때”라며 “무엇보다 속도가 중요하다”고 이같이 강조했다.

에포크타임스


디지털뉴스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목록  
글쓰기
번호
제목 이름 날짜
1583 한중, 초등생도 문화교류?... 쑤저우 소학교 단체, 인천....
디지털뉴스팀
25-07-11
1582 韓美日, 연합 공중훈련... B-52H 폭격기 올해 첫 전개
디지털뉴스팀
25-07-11
1581 尹 전 대통령 재구속
디지털뉴스팀
25-07-11
1580 對美 관세 협상 돌파구 없나... 韓 수출·성장률 비상
디지털뉴스팀
25-07-10
1579 '민생회복 소비쿠폰'... ‘550억’ 과도 행정비 논란
디지털뉴스팀
25-07-08
1578 李정부 추경 ‘민생회복’ 실종... ‘국방·서민·취약·교육’....
디지털뉴스팀
25-07-07
1577 국정위, 통일부 명칭 변경 검토... ‘통일’ 삭제?
디지털뉴스팀
25-07-05
1576 韓, 1분기 마이너스 성장... 소비·투자·수출 모두 부진
디지털뉴스팀
25-07-03
1575 중학교 시험에 '윤석열 탄핵 심판문' 등장
디지털뉴스팀
25-07-02
1574 李정부 두 차례 추경에 국민 혈세 나랏빚 ‘900조’ 돌파
디지털뉴스팀
25-07-01
글쓰기

특별보도

더보기

핫이슈

더보기

많이 본 기사

더보기

SOH TV

더보기

포토여행

더보기

포토영상

더보기

END CCP

더보기

이슈 TV

더보기

꿀古典

더보기
449,629,230

9평 공산당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