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 신규 확진자가 연일 속출하면서 병상 부족에 대한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국립중앙의료원이 중환자 병상 부족에 대비한 입원 배정 효율화 등 조치에 나섰다.
국립중앙의료원은 최근 서울, 경기 등 수도권을 중심으로 코로나19 환자가 급증함에 따라 '코로나19 공동대응상황실' 가동을 본격화했다고 25일 밝혔다.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가 국립중앙감염병병원인 국립중앙의료원, 서울시, 인천시, 경기도가 연합하는 '코로나19 공동대응상황실'을 설치하고 수도권 환자의 중증도 분류와 병상 배정, 병원을 옮기는 전원 조정 권한을 부여한 데 따른 것이다.
코로나19 공동대응상황실은 이번 수도권 재확산이 그동안의 유행과는 다른 양상을 보여 병상 자원의 효율성을 높여야 한다고 보고 있다. 수도권 중심 집단감염에서 60세 이상 고령 환자 비율(8월14일∼24일)은 서울 31.5%, 경기 38.6%, 인천 31.8%에 달해 중증으로 악화할 우려가 크다.
이들은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았더라도 증상 발생과 평소 기저질환(지병) 보유 여부 등을 두루 살펴 입원을 결정해야 한다고 봤다.
환자 배정을 위한 분류 체계에 따르면 코로나19 양성 판정을 받았을 때 기침, 인후통, 오한 등 증상이 없을 경우 우선 병원이 아닌 생활치료센터로 가게 된다. 만약 이때 생활치료센터 병상에 여유가 없을 경우 가정에서 대기하면서 증상을 살펴야 한다.
현재 생활치료센터는 총 7개소가 운영되고 있으며, 1천605명의 무증상 또는 경증 코로나19 환자를 수용할 수 있다. 전날 오후 7시 기준 가동률은 62.4%다. 603명을 더 수용할 수 있다.
유증상자 중 의식 저하를 보이면 즉시 입원토록 하고, 의식 저하가 없더라도 호흡곤란이나 평소 기저질환(지병)이 있는 등 위험요인이 있을 경우에도 입원 치료를 받게 했다. 입원에 고려되는 요인은 발열, 당뇨, 투석, 외상, 장기이식, 임신 등이다.
증상이 있더라도 의식 저하도 없고 평소 지병도 없다면 생활치료센터로 이송될 예정이다.
이날 공개된 코로나19 진료 권고안에는 코로나19 관련 병상 확보를 위해 임상 증상 호전에 따른 퇴원을 적극 고려해야 한다는 내용도 담겼다.
단 이러한 퇴원 조치는 환자가 집으로 돌아가 호흡곤란 등이 발생했을 때 이를 확인하고 신고해 줄 보호자가 있는 경우에 적용해야 한다. / 연합뉴스
디지털뉴스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