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시중에서 판매 중인 섬유유연제 5개 제품에서 미세플라스틱 성분이 검출돼 소비자들의 주의가 요구된다. 미세플라스틱은 5mm 미만의 작은 플라스틱 조각이다.
25일 소비자단체 ‘녹색소비자연대’는 국가공인 시험검사기관인 코티티(KOTITI) 시험연구원에 의뢰한 국내에서 유통 중인 섬유유연제 12종에 대한 검사 의뢰 결과를 토대로 이같이 밝혔다.
이번 검사는 6월 25일부터 7월 26일까지 진행됐으며, 미세물질 성분 분석이 가능한 SEM(주사전자현미경), EDS(에너지분산형 분광분석기), FT-IR(적외선 분광분석기) 등을 이용해 이뤄졌다.
검사 대상 제품은 P&G의 △다우니 보타니스 코튼 △레노아 해피니스 △다우니 레몬그라스, 피죤의 △리처퍼퓸 로맨틱 플라워 △리치퍼퓸 시그니처 미스틱, LG생활건강의 △샤프란 핑크 △꽃담초수 자스민 △아우라 윌유메리미, 애경의 △아이린 핑크,무궁화의 △아로마뷰 로즈, 유니레버의 △스너글 프레쉬코튼 등이다.
검사 결과, P&G의 `다우니 보타니스 코튼` 등 3개 제품과 피죤의 `리치퍼퓸 로맨틱 플라워` 등 2개 제품에서 50㎛ 미만의 캡슐로 추정되는 구형(공 모양) 입자가 검출됐다.
녹색소비자연대는 P&G 제품에서 검출된 미세플라스틱은 멜라민 수지로, 피죤 제품에서 검출된 미세플라스틱은 폴리아크릴레이트 계열로 각각 추정했다.
연대는 ”미세플라스틱 오염 어패류를 섭취할 경우 인체 유해성이 국제 연구를 통해 드러나고 있다“며, ”미세플라스틱은 입자가 작아 혈관과 림프 체계를 통해 우리 몸에 침투해 간에까지 도달할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의견이다“고 경고했다.
국내에서 섬유유연제 제품에서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녹색소비자연대에 따르면 전 세계 해양의 미세플라스틱 오염이 가속화와 함께 국내 해양 생태계도 빠르게 오염되고 있다.
국립생태원도 최근 국내 하천 수질 검사에서 금강 수계 6개 지점 물 시료와 5개 지점 물고기에서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된 것을 확인했다.
또 식품의약품안전처도 서울·광주·부산 대형 수산물 시장에서 판매한 굴·담치·바지락·가리비에서 미세플라스틱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녹색소비자연대는 ”최근 각종 국제 연구를 통해 미세플라스틱에 오염에 따른 인체 내 부작용이 속속 확인되고 있다“고 밝혔다.
미세플라스틱에 오염된 어패류를 섭취할 경우, 혈관과 림프 체계로 우리 몸에 침투해 간까지 도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환경부는 미세플라스틱이 들어 있는 섬유유연제를 비롯해 세정제, 자동차용 코팅제 등 생활화학용품에 대해 올해 안에 규제방안을 만들 방침이다.
구본석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