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중국인들이 한국 온라인에서 조직적으로 댓글 여론을 조작한다는 분석이 나온 데 대해, 국민의힘이 관련 기업에 대책 마련을 강력히 촉구했다.
김은영 가톨릭관동대 경찰행정학과 교수와 홍석훈 국립창원대 국제관계학과 교수 연구팀은 최근 ‘한중 경쟁 산업 분야에 대한 인지전 실태 파악’ 보고서(한경비즈니스 9일 보도)를 발간했다.
여기에는 연구팀이 2003년 7월부터 올해 8월까지 네이버, 유튜브 등 온라인에서 한·중 산업 관련 국내 기사에 달린 댓글을 분석한 결과 등이 담겼다.
네이버에서 전기차, 배터리, 스마트폰, 삼성, 알테쉬(알리익스프레스·테무·쉬인) 등 키워드를 담은 기사 70개를 무작위로 선택해 댓글을 분석한 결과 중국인으로 추정되는 계정이 단 댓글 수가 특히 많았다.
유튜브에서는 기사별로 최대 댓글 2698개가 달리며 네이버(454개)보다 더 조직적인 여론 선동이 이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계정들은 국민의 불안감을 조성하는 ‘겁주기’, 정치·성별·지역 ‘갈라치기’, 중국을 비판하는 국내 매체의 영향력을 떨어뜨리는 ‘버리기’ 기법 등을 활용했다.
일례로 전기차 기사 댓글 중에서는 ”요즘 중국 차도 싸고 좋은데 현기차(현대차·기아) 누가 사냐?”, “흉기차(현대차·기아를 비하하는 표현) 긴장해야 한다” 등과 같은 ‘겁주기’ 술책이 자주 발견됐다.
또한 “현 정권이 들어서며 한국이 미·일의 속국이 되고 있다”는 ‘갈라치기’, 중국에 비판적인 언론사에 대해 보도 내용보다 매체 자체를 비난하는 ‘버리기’ 수법도 많았다.
이와 관련, 국민의힘 미디어특별위원회(미디어특위)는 11일 성명을 내고 “이 분석이 사실이라면 그간 꾸준히 제기돼 왔던 ‘중국 네티즌 댓글 조작’ 의혹이 사실로 밝혀지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해당 댓글의 내용과 기법 등에 대해 “매우 치밀하게 우리 국민의 정서와 인식을 왜곡하고 대한민국 국익에 반하는 방향으로 여론을 호도해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고 밝혔다.
문제의 계정들은 한국 기업에 대한 불안과 거부감을 조장하고, 정치 성향이나 성별, 지역 갈등을 중점적으로 부추기는 내용을 담고 있다.
미디어특위는 이런 댓글 조작은 “한·중 산업 경쟁 외에 주요 외교적 사안, 한국 내 각종 루머와 괴담에 대해서도 행해졌을 것으로 강하게 추정된다”며 “남남갈등을 증폭시킴으로써 대한민국의 국익을 저해하고, 결과적으로 중국 정권에 유리한 방향으로 분위기를 조성한다”고 짚었다.
이처럼 국내외 주요 온라인 공간이 중국 네티즌의 조작으로 들끓고 있지만 네이버 등 관련 기업들은 단속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고 있다.
미디어특위는 “국내 최대 포털 기업 네이버는 과거 ‘드루킹 여론조작 사건’의 주요 활동 무대로 악용된 전례가 있음에도, 여전히 미온적 대응을 보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미디어특위는 “댓글의 경우 현재에도 ‘공감비율순’, ‘순공감순’과 같은 배열 방식을 적용하는 경우가 있다. 외관상 높은 공감을 받은 댓글이 다수 국민의 생각을 반영하는 것처럼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조작과 왜곡에 매우 취약하다”면서 “왜 이러한 사실을 알고도 개선해 나가지 않는 것인지” 물었다.
그러면서 네이버 등에 대해 “타국 네티즌에 의한 집단적 댓글 조작과 같은 여론 왜곡 범죄를 봉쇄하는 합리적 대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더퍼블릭
디지털뉴스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