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그인
    • 회원가입
    • 사이트맵
    • 04.01(화)
페이스북 바로가기 트위터 바로가기
  • 중국

  • 국제/국내

  • 특집

  • 기획

  • 연재

  • 미디어/방송

  • 션윈예술단

  • 참여마당

  • 전체기사

검색어 입력

연말 해외 직구 쇼핑 주의!... 알리·테무 위해제품 1900건 유통 차단

디지털뉴스팀  |  2024-11-27
인쇄하기-새창



[SOH] 블랙프라이데이(미국 11월29일)와 박싱데이(영국 12월26일) 등 연말 대규모 할인행사가 잇따라 예정된 가운데, 중국 쇼핑 플랫폼 알리익스프레스와 테무가 판매한 위해제품이 대거 적발돼 소비자들의 주의가 요구된다.

23일 공정거래위원회(공정위)와 한국소비자원(소비자원)에 따르면 올해 5~10월 알리익스프레스,테무에서 유통되는 위해제품 총 1915건에 대해 국내 판매 차단 조치가 내려졌다.

품목별로 보면 △‘가전·전자·통신기기’가 631건(33.0%)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아동·유아용품’ 588건(30.7%), △‘액세서리류’ 293건(15.3%)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차단 사유로는 '가전·전자·통신기기'의 경우 △유해물질 함유(납·카드뮴 등) 359건(56.9%), △감전 위험132건(20.9%), △폭발·과열·발화 우려 84건(13.3%) 등이었다.

아동·유아용품의 경우에는 유해물질 함유가 281건(47.8%)으로 가장 많았고, 부품 탈락 및 질식위험 238건(40.5%) 이었다. '액세서리류'는 293건 모두 유해물질 함유로 인해 판매 차단됐다.

공정위와 소비자원은 해외 직구를 통한 위해제품의 국내 유입이 계속되고 있는 만큼 다음과 같은 주의사항을 제시했다.

가전·전자·통신기기의 경우 감전, 과열, 화재 피해 예방을 위해 제품이 정격 전압·전류 등 국내 사용가능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어린이 제품 해외직구 시 작은 부품의 탈락 및 삼킴 위험 사례와 유해물질(납, 카드뮴 등) 함유 사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장시간 착용하는 액세서리 제품 구매 시에도 유해물질 함유 사례를 참고해야 한다.

아울러 식품 등을 구매할 때에도 국내 반입차단 물질, 국내 기준치 초과 사례가 확인된 만큼 원료·성분 등을 주의 깊게 확인할 것이 요구된다.

공정위와 소비자원은 "해외 직구로 제품 구매 시 구성·성분 등을 주의 깊게 살피고, ‘소비자24’ 또는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을 통해 해외 리콜 정보 및 안전성 조사 결과도 확인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디지털뉴스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관련기사
  목록  
글쓰기
번호
제목 이름 날짜
1397 한동훈 국힘 대표 “부역자 퇴출·징계” 압박 속 사퇴
한상진 기자
24-12-17
1396 ‘입시비리’ 조국 징역 2년 확정... 의원직 상실·대선 출....
디지털뉴스팀
24-12-12
1395 尹대통령 탄핵 시위에 ‘중국어 우유팩·오타 손팻말’ 등장 ..
디지털뉴스팀
24-12-09
1393 2025 수능 국어 지문에 ‘대통령 퇴진 집회 링크’
디지털뉴스팀
24-12-06
1392 철도노조 5일부터 무기한 총파업... 전철·KTX 운행 축소
디지털뉴스팀
24-12-05
1391 500여 사회단체 '모자보건법 개정안' 반대... “엉터리 ....
디지털뉴스팀
24-12-03
1390 올해 국가 핵심기술 해외 유출 '역대 최다'... 대부분 ....
한지연 기자
24-11-29
1389 음란 도서로 병드는 학교 도서관... 좌편향, 反정부 책....
디지털뉴스팀
24-11-29
1388 국힘 미디어특위... 네이버 등에 ‘中 댓글 여론조작’ 대....
디지털뉴스팀
24-11-28
글쓰기

특별보도

더보기

핫이슈

더보기

많이 본 기사

더보기

SOH TV

더보기

포토여행

더보기

포토영상

더보기

END CCP

더보기

이슈 TV

더보기

꿀古典

더보기
444,509,722

9평 공산당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