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국내 교육기관들에서 개인정보 유출사고가 급증하고 있다. 2021년부터 올해 8월 말까지 최근 4년간 대학 및 대학병원, 교육청 및 일선 학교, 기타 교육기관을 합친 개인정보 유출 건수는 615만건에 달했다.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진선미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서울 강동갑)이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교육 관련 기관들의 개인정보 유출사고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21년부터 올해 8월까지 교육기관들에서 유출된 개인정보는 615만 4877건으로 나타났다.
이는 우리나라 인구 5175만명의 8.4%에 해당하는 규모다. 유츌된 정보는 주민등록번호 등 고유식별번호와 병명과 진료결과 등 민감한 내용이다.
개인정보 유출사고는 2021년에 55회에 걸쳐 4만 1000여건을 기록했지만, 2022년에는 30회에 걸쳐 152만건의 개인정보가 유출되어 전년 대비 36.7배나 증가했다. 지난해에는 104회 유출사고가 있어 2021년과 비교해 2배가 증가했으며, 유출규모는 406만 4000여건으로 98배나 급증했다. 올해는 1월부터 8월까지 66회에 걸쳐 53만건의 개인정보가 유출돼 계속 증가하는 추세다.
기관별로는 △각 교육청과 일선 학교가 171회(67.1%)에 걸쳐 전체 유출규모의 절반(50.8%)인 312만 5,000여건의 개인정보가 유출되어 사고와 규모가 가장 컸다. △각 대학교와 대학병원들이 69회(27%)에 걸쳐 299만 1,581건(48.6%), △교육부와 산하기관들에서 15회(5.9%)에 3만 7,929건의 개인정보가 각각 유출됐다.
유출 경위별로는 ‘개인정보취급 담당자의 부주의’로 개인정보가 유출된 것이 191회로 전체 254회 유출사고의 74.9%를 차지했지만, 유출규모 면에서는 11만 4,394건으로 전체의 1.8%에 불과했다.
반면, ‘해킹이나 악성코드 감염에 의해 개인정보 유출’은 전체의 12.2%인 31회에 불과했지만, 유출규모 면에서 전체의 79.6%인 489만 7,079건으로 가장 유출피해가 컸다. ‘개인정보 취급자의 명의도용’이 26회(10.2%)에 걸쳐 87만 2,686건(14.2%)이었다.
대형 개인정보 유출사고로 분류되는 1,000건 이상 유출사고도 계속 늘고 있다. 2021년과 2022년에는 각 6회였지만, 2023년에는 13회로 2배 이상 급증했고, 올해 8월까지 10회의 유출사고가 발생했다.
특히, 올해에는 교육분야 개인정보보호 책임부서인 교육부에서도 공문을 보내면서 1만 1,113명 교원들의 소속과 휴대폰번호 등 개인정보가 담긴 문서를 함께 오발송하는 사고도 있었다.
각급 교육기관에는 학생과 교원 및 학부모의 주민등록번호와 같은 개인식별번호뿐만 아니라 성적이나 병원의 진료기록 같은 민감정보들이 많이 보관·관리되고 있어, 개인정보 유출사고는 각종 디지털 범죄에 활용되거나 사생활 및 인권 침해 소지가 크다.
개인정보 유출 급증에 대해 진선미 의원은 “현 정부의 교육정책이 AIDT 등 디지털 교육혁신을 강조하면서 개인정보 보호보다 활용에 초점을 두는 등 안일한 정보보호 인식에 그 원인이 있기 때문”이라며 정보보안과 개인정보 보호 정책으로의 방향 전환을 촉구했다.
보안뉴스
디지털뉴스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