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충남 공주 영명고등학교가 ‘공자학당’ 설립계획을 무기한 보류해 공자학원(중국공산당 통일전선공작부 공작기관)의 중·고교 침투를 차단한 첫 사례로 주목받고 있다.
영명고는 지난 8월 22일 순천향대학교와 신규 ‘공자학당’ 설립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이에 시민단체 ‘공자학원실체알리기운동본부(공실본)’와 ‘CCP(중공)아웃’은 영명고 측에 공자학원의 실체에 관한 설명자료와 관련된 기사 등을 제공했고, 10월 8일 오전 8시부터 학교 앞에서 기자회견을 개최할 계획임을 고지했다.
영명고 당국은 회의를 거쳐 공자학당 설립 계획을 보류하고, 9월 30일 그 사실을 공실본에게 알렸다. ‘공실본’ 등은 영명고의 신속한 결정을 환영하며 감사의 뜻을 표했다.
공자학당은 대학에 설립된 공자학원과 연계하여 중고교에 설립하는 일종의 자매기관이다. ‘공자학원’은 2004년 서울공자아카데미를 시작으로 국내 22개 대학에 설립됐다.
중·고교에 ‘공자학당’을 설립하기 위한 접근 방법은 두 가지로 추정된다. 첫째는 대학에 설립된 ‘공자학원’들이 중,고교 교장들을 중국으로 초청하여 여행을 시키는 방식이다. 둘째는 고등학교 중국어 교사들을 통해 ‘공자학당’ 설립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은 교장단과 교사들이 중국 공산당의 영향을 받을 수 있는 경로로 작용한다.
현재 설립된 공자학당은 모두 16개로 신현고·인천국제고(인천), 서대전고(대전), 지산고(부산), 태성중·고(경기 용인), 아산고(충남 아산), 천안고(충남 천안), 연무고(충남 논산), 화산중(전북 완주), 진경여고(전북 익산), 고창북고(전북 고창), 경일고·경일여고(경남 창원), 진성여고(전남 여수), 무안고(전남 무안), 아산청소년문화센터(충남 아산) 등이다.
‘공자학원’은 표면적으로는 중국어와 중국문화를 가르친다고 하지만 중국공산당 통일전선공작부가 직접 관리하는 공작기관으로, △반중 동향 감시·저지, △친중 인맥 포섭, △정보 수집, △해외 중국인 감시 등이 주된 임무라는 지적을 받고 있다.
공자학원의 강사는 중국공산당이 선발, 교육해서 파견하며, 공자학원의 교재도 중국공산당이 제작, 배포한다. 공자학원의 교육과정은 철저하게 중국공산당의 관리, 감시를 받는다.
한때 118개에 달하는 공자학원이 있었던 미국은 공자학원의 실체를 인식하고 트럼프 대통령 재임 시절(2017-2020)부터 그 추방에 나서기 시작, 지금은 10개 이내로 줄였다. 스웨덴, 노르웨이, 덴마크 등은 공자학원을 모조리 추방했고, 캐나다와 프랑스, 독일 등도 공자학원 계약 갱신 거부 등으로 그 숫자를 줄이고 있다.
이에 공실본 등은 한국도 이에 동참할 것을 계속 촉구하고 있지만 아직 문을 닫은 곳은 없다.
‘공실본’은 “중국은 내부적으로 위기에 직면하고 있으며, 이 시기에 공자학원을 끌어안고 있는 학교와 개인들은 국민적 심판을 피할 수 없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또한, ‘공자학원’과 관련된 공개토론을 제안하며, 과거 여러 차례의 제안에도 불구하고 ‘공자학원’ 측이 응하지 않았음을 지적했다.
이번 사건은 ‘공자학원’의 중,고교 침투를 막기 위한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앞으로도 ‘공실본’과 시민사회는 ‘공자학원’에 대한 감시와 반대 활동을 지속할 예정이다.
※참고기사
디지털뉴스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