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그인
    • 회원가입
    • 사이트맵
    • 05.02(금)
페이스북 바로가기 트위터 바로가기
  • 중국

  • 국제/국내

  • 특집

  • 기획

  • 연재

  • 미디어/방송

  • 션윈예술단

  • 참여마당

  • 전체기사

검색어 입력

'안전기준 부적합' 해외 직구 1년간 수천개 국내 유입... 대부분 중국산

디지털뉴스팀  |  2024-10-05
인쇄하기-새창



[SOH] 환경부가 안전성 문제로 관세청에 통관 차단을 요청한 제품 최소 수천 건이 이미 국내 반입돼 유통 중인 것으로 조사됐다. 대부분 중국산이다.

앞서 환경부는 지난달 19일, 올해 4월부터 최근까지 알리와 테무를 비롯한 해외 온라인 유통사 제품 558개를 구매해 안전성 여부를 조사한 결과, 69개 제품이 국내 안전기준에 부적합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1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박성훈 의원이 관세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환경부가 관세청에 차단 요청한 위 69개 제품은 지난 1년(지난해 9월∼올해 8월)간 모두 2558건 국내 반입됐다. 

‘통관 건수’를 집계한 것으로, 실제 국내로 들어온 위 69개 제품의 정확한 개수는 파악하기 어렵다. 1건에 제품 수백개가 포함돼도 1건으로 집계되기 때문에 최소 수천개의 제품이 이미 국내로 반입돼 유통 중일 것으로 보인다. 

환경부가 지난 7월 19일 요청한 생활화학제품 20개와 금속 장신구 27개가 이 기간 각각 576건, 1천223건 반입됐다. 이달 3일 요청한 금속 장신구 22개는 같은 기간 759건 반입됐다. 다만 통관 차단을 요청한 이후 국내 반입 사례는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해외직구’의 안전성 및 소비자 불만 등 문제가 폭증하는 데 대해 정부는 태스크포스(TF)를 구성, 대책 마련에 나섰다. 정부 각 부처는 소관 해외직구 제품에 대한 안전성 조사를 강화하고 있다. 

조사 결과 위해성이 확인되는 경우 플랫폼에 차단 요청한 후 관세청에 해당 물품 정보를 제공한다. 관세청은 위해 제품의 추가 유입 방지를 위해 소관 부처로부터 제공받은 제품 정보를 통관단계 선별 검사에 활용하고 있다.

박성훈 의원은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발암물질 등 유해 물질 검출 제품이 얼마나 들어왔는지 정확한 파악이 어려운 실정"이라며 "모르고 사용하고 있을 소비자에게 적극적으로 알리는 한편, 이미 판매된 유해 제품 회수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디지털뉴스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관련기사
  목록  
글쓰기
번호
제목 이름 날짜
1372 전국 140여 버스터미널 ‘티머니 앱’ 먹통에 대혼란... L....
디지털뉴스팀
24-10-28
1371 119 시민단체 “CJ·티빙 동성애 드라마 철회“ 촉구... “....
디지털뉴스팀
24-10-26
1370 독도는 한국 땅... 오늘은 ‘독도의 날’
디지털뉴스팀
24-10-25
1369 초·중·고 담임 ‘기간제’ 교사 비중 증가... 왜?
디지털뉴스팀
24-10-25
1368 외국인 노령연금 수급 1만명↑... 절반 이상 중국인
도현준 기자
24-10-24
1367 전학연, 노벨상 한강 도서 학교·공공도서관 비치 반대......
디지털뉴스팀
24-10-24
1366 공공기관, 국정원 '해킹 취약' 지적에도 中CCTV 교체 X
디지털뉴스팀
24-10-23
1365 교육기관 개인정보 유출사고 급증... 4년간 615만건↑
디지털뉴스팀
24-10-21
1364 딱 봐도 중국옷!... 中 호주서도 한복공정
한지연 기자
24-10-19
1363 中, 한국서도 ‘짝퉁’ 제조... ‘가짜 담배’ 13억원어치 ....
강주연 기자
24-10-17
글쓰기

특별보도

더보기

핫이슈

더보기

많이 본 기사

더보기

SOH TV

더보기

포토여행

더보기

포토영상

더보기

END CCP

더보기

이슈 TV

더보기

꿀古典

더보기
445,844,769

9평 공산당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