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증국 온라인 쇼핑 플랫폼에서 판매 중인 어린이용 가방에서 국내 기준치의 최대 56배가 넘는 발암물질이 검출돼 소비자들의 주의가 요구된다.
서울시가 지난달 ‘알리 익스프레스’에서 판매율 상위에 오른 어린이용품과 생활용품 31개의 안전성을 조사한 결과, 8개 제품에서 허용 기준치를 크게 넘는 유해 물질이 검출됐다.
이들 제품은 △어린이용 가죽가방 △어린이용 물놀이 튜브 보행기 △목재 자석 낚시 장난감 △사탕 모양 치발기 △바나나 모양 치발기 △캐릭터 연필과 △지우개 연필이다.
특히 어린이용 가죽가방에서는 플라스틱을 가공할 때 사용되는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4종(DEHP·DBP·DINP·DIBP)이 검출됐으며, 총합은 기준치의 55.6배에 달했다.
어린이 물놀이 튜브에서도 기준치의 33배 이상 나왔으며, 캐릭터·지우개연필(DEHP 33∼35배)과 목재 자석 낚시 장난감(DBP 2.2배) 등에서도 각각 검출됐다.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는 불임 유발 등 생식 독성이 있다. 이 가운데 DEHP(디에틸헥실프탈레이트)는 국제암연구소가 지정한 인체발암가능물질(2B등급)이다.
이들 제품은 물리적 안전성도 미흡한 것으로 확인됐다.
어린이 물놀이 튜브의 경우 두께가 국내 기준(0.25㎜)보다 얇아(0.19㎜) 안정성이 낮았다. 유아용 치발기 2개는 디자인과 형태가 기도를 막을 가능성이 높았고 작은 힘에도 쉽게 손상돼 질식 위험이 있었다. 보행기는 제품 틈에 베이거나 낄 가능성과 낙상 위험이 있었다.
해외직구 제품을 구매할 경우 별도 안전성 검사 없이도 반입될 수 있어 안전 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
지난해 국내 해외직구액은 6조8천억 원으로 전년 대비(5.3조) 28.3% 급증했다. 기존에는 미국 직구가 대세였으나 중국 플랫폼의 공세로 작년은 절반 가까이(48.7%)가 중국업체였다.
‘저렴한 가격’를 앞세워 국내 시장을 공략 중인 알리의 경우 2월 기준 온라인 플랫폼 월간활성이용자 수가 818만명으로 쿠팡에 이어 국내 2위로 올라섰다. 후발주자 테무 역시 국내 시장을 빠르게 잠식하고 있다.
서울시는 이번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해외 플랫폼 판매상품의 유해성을 집중 조사하고 소비자 보호 대책을 추진한다.
먼저 중국 '알테쉬'를 중심으로 상시 안전성 검사 체계를 가동, 이달 넷째 주부터 매주 검사 결과를 공개해 피해를 예방한다.
안전성 검사는 소비자의 구매가 많거나 피해접수가 많은 제품을 중심으로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과 국가기술표준원 인증기관에서 진행한다.
일상생활에 밀접한 제품은 외부 인증기관(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KATRI 시험연구원·FITI 시험연구원)에 검사를 의뢰한다.
해외직구 상품에 대한 '소비자피해 전담 신고센터(서소문1청사 14층 전자상거래 센터 내)'도 운영한다. 필요시 한국소비자원 등 중앙 부처와 공조해 피해를 최소화한다. 해외 유력 온라인 플랫폼과 핫라인도 지속해 구축을 추진한다.
피해 사례 신고는 서울시전자상거래센터 홈페이지(ecc.seoul.go.kr)나 전화(02-2133-4896), 120다산콜센터로 문의하면 된다.
연합
디지털뉴스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