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4·10 총선이 10여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우리 국민 10명 중 8명은 ‘보수와 진보’를 둘러싼 사회 갈등이 심각하다고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 한국의 사회지표’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 국민의 82.9%는 보수와 진보 간의 갈등 수준이 심각하다고 인식했다. 해당 갈등의 심각성을 묻는 질문에 ‘약간 심하다’와 ‘매우 심하다’로 답한 비율을 합한 수치다.
이러한 인식률은 19~29세부터 60세 이상까지 모든 연령대에서 80%를 초과했고 특히 40대가 84.2%로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는 빈곤층과 중상층(76.1%), 근로자와 고용주(68.9%) 간 갈등이 심각하다는 답변이 많았다. 남녀 간 갈등(42.2%)과 종교 간 갈등(42.3%)은 상대적으로 비율이 낮았다.
지난 2021년만 해도 ‘빈곤층과 중상층’ 갈등이 81.2%로 ‘보수와 진보’(78.9%)보다 높았다. 하지만 2022년 ‘보수와 진보’(82.6%)가 ‘빈곤층과 중상층’(81.8%) 갈등을 앞선 뒤 격차는 더 벌어지고 있다.
‘삶에 만족한다’는 답변은 74.1%로 1년 전보다 1.3% 포인트 줄었다. △월 소득 500만~600만원인 경우 80.3%가 긍정적으로 답했지만 △월 소득 100만원 미만인 경우 54.6%만이 삶에 만족한다고 답했다.
노년층의 사회적 고립 양상도 두드러졌다. 지난해 자신이 ‘외롭다’고 응답한 비율은 전체의 18.5%였는데, 60세 이상은 24.0%가 외롭다고 답해 큰 차이를 보였다.
이들은 사회적 관계망도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 51.0%는 어려울 때 경제적으로 도와줄 사람이 있다고 답했지만 60세 이상은 37.9%만이 긍정적인 답변을 내놨다.
하성진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