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한국의 전통과 문화를 가로채 자신들의 것이라고 우기는 중국의 문화공정이 계속되고 있어 이에 대한 바른 인식과 대응이 요구된다.
우리 문화 지키기에 앞장서고 있는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지난 19일 자신의 인스타그램에 한국의 '부채춤'이 세계 곳곳에서 '중국 춤'으로 인식되고 있어 우려스럽다면서 네티즌들로부터 제보 받은 여러 장의 관련 사진을 게시했다.
그에 따르면 프랑스의 한 여행사 사이트에는 최근에 막을 내린 글로벌 축제 ‘니스 카니발’을 소개하는 과정에서 ‘중국인 댄서’라는 설명과 함께 부채춤을 추는 사진이 올라왔다.
지난달 말 뉴욕 차이나타운에서 펼쳐진 대형 퍼레이드 행사에서도 중국인들이 수많은 외국인 관광객들 앞에서 부채춤을 췄다.
아울러 지난달 음력설을 맞아 미국 NBA 덴버 너기츠 홈구장에서도 '중국 댄스팀'이라 소개된 중국인들이 한복을 입고 부채춤을 추는 퍼포먼스를 진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서 교수는 "중국 포털 바이두의 백과사전도 한국의 부채춤을 '중국 민간 전통무용'으로 왜곡하고 있다"며 "홍콩 고궁박물관 공식 SNS에도 한복을 입고 부채춤을 추는 장면을 사진으로 올리며 '중국 무용(Chinese Dance)'으로 소개해 큰 논란이 되기도 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그는 세계 곳곳에서 이런 일들이 벌어지고 있어 외국인들이 부채춤을 중국문화로 오해할까봐 우려스럽다며, "부채춤 역사에 관한 다국어 영상을 제작해 전 세계에 부채춤은 '한국 무용'이라는 사실을 널리 알려나가겠다"고 밝혔다.
부채춤은 한복 등을 입고 양손에 꽃 그림이나 깃털로 장식된 화려한 부채를 든 채 다양한 춤사위를 표현하는 한국 무용이다.
원래 궁중에서 추던 격식 있는 춤이 민간으로 퍼지면서 다양하게 구성되기 시작했으며, 1954년 무용가 김백봉이 창작 발표한 김백봉류 부채춤이 가장 화려하고 세계적으로도 유명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알리, 테무 한복공정 일조
한편, ‘초저가’를 무기로 국내 온라인 시장을 공략 중인 중국 쇼핑 앱이 논란이 많은 한푸를 우리 한복과 섞어 팔고 있어 중국의 한복공정에 동조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서 교수는 지난 6일 페이스북을 통해 알리익스프레스와 테무 등에서 ‘한복’을 검색하면 많은 ‘한푸’도 함께 검색되고 있어 외국인들에게 오해를 불러 일으킬 수 있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한때 중국 스마트폰 업체 샤오미가 스마트폰 배경 화면 스토어에서 한복을 ‘중국 문화’(China Culture)로 소개해 논란이 됐는데, 요즘은 중국 쇼핑몰들이 큰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고 했다.
현재 알리익스프레스의 한국인 월간 사용자 수는 약 600만명이며, 테무는 400만명이 넘는다.
서 교수는 이들의 교묘한 판매 수법에 대해 “한국 소비자들을 기만하는 행위”라고 꼬집었다. 한국인을 대상으로 장사를 한다면 한국의 문화와 역사를 먼저 존중할 줄 아는 최소한의 예의를 지켜야 하는데 전혀 그렇지 않다는 것이다.
서 교수는 아울러 “알리와 테무는 빨리 시정해야 하며, 앞으로 우리 소비자들도 정신을 바짝 차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디지털뉴스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