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우리나라에서 최근 10년 사이 혼인 건수가 40%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원인은 ‘경제적 문제’ 때문인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3일 통계청의 ‘2023년 12월 인구동향’과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해 혼인 건수(잠정치)는 19만3673건이었다. 이는 10년 전인 2013년(32만2807건)보다 40.0% 감소한 수준이다.
혼인 건수는 2011년(32만9087건)까지 증감을 반복하다가 2012년부터 2022년(19만1690건)까지 11년째 연속해서 줄고 있는 상황이다. 지난해에는 코로나19로 미뤄왔던 결혼이 진행된 영향 등으로 1983건(1.0%) 늘었다.
지난해에는 코로나19로 미뤄왔던 결혼이 진행된 영향 등으로 1983건(1.0%) 소폭 늘었다. 그러나 향후에도 이 같은 증가세가 유지될지는 불확실한 상황이다.
혼인 건수가 급감한 데에는 ‘결혼에 대한 인식 변화’가 배경으로 꼽힌다. 통계청 사회조사에 따르면 13세 이상 인구 중 ‘결혼을 반드시 해야 한다’고 응답한 비율은 2012년 20.3%에서 2022년 15.3%로 줄었다.
‘결혼하는 것이 좋다’고 응답한 비율은 42.4%에서 34.8%로 감소하는 등 결혼에 대한 긍정적 인식도 감소했다. 반면 이 기간 ‘결혼을 해도 좋고 하지 않아도 좋다’고 응답한 비율은 33.6%에서 43.2%까지 증가했다.
주거 마련 등 경제적인 이유로 결혼하지 않는다는 답변이 가장 많았다. 결혼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 2022년 20대의 32.7%, 30대의 33.7%, 40대의 23.8%가 ‘혼수비용·주거 마련 등 결혼자금이 부족해서’라고 답했다.
다음으로 20대(19.3%)와 40대(15.4%)는 ‘결혼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해서’가 뒤를 이었다. 30대의 경우 ‘결혼하고 싶은 상대를 만나지 못해서’(14.2%)와 ‘결혼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해서’(14.2%)가 두 번째로 많았다.
이 같은 상황은 출생아 수 감소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인 합계출산율은 지난해 0.72명으로 역대 최저치를 경신했다.
자녀를 2명 이상 낳는 다둥이 기피 현상도 뚜렷하다.
통계청에 따르면 작년 둘째 이상 출생아 수는 전년보다 1만 2448명 줄어든 9만 1700명으로 사상 처음으로 10만 명을 밑돌았다.
둘째 이상 출생아 수 감소는 출산·육아를 경험한 부모의 '저출산' 현상이라는 점에서 첫째아 감소세와 구분해서 볼 필요가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조언이다.
애초 출산·육아에 긍정적인 생각을 가진 부모들이 '현실 육아'를 경험한 뒤, 출산을 포기하는 현상이 반영됐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결혼 연령이 늦어지면서 출산 연령이 상승하는 점도 둘째 이상 출생아 수가 줄어드는 이유로 꼽힌다.
지난해 여성의 평균 출산연령은 33.6세로 매년 상승하고 있다. 둘째아 평균 출산연령은 34.4세로 첫째아(33.0세)보다 1.4세 많았다.
디지털뉴스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