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한국방송(KBS)이 독도가 일본의 배타적 경제수역(EEZ)에 포함된 지도를 자료화면으로 활용해 논란이 일고 있다.
KBS는 해당 자료화면을 삭제했으나, KBS 시청자센터 누리집의 시청자청원 게시판에는 비판 의견이 이어지며 해명을 요구하고 있다.
14일 KBS 메인 뉴스 프로그램인 ‘뉴스9’은 북한의 올해 첫 미사일 도발 소식을 다룬 리포트에서 독도가 EEZ 안에 들어간 지도 이미지를 사용했다.
당시 KBS는 "일본 방위성은 최고 고도가 50km 이상이었고, 일본 배타적경제수역 밖 동해상으로 떨어졌다고 밝혔다"라는 기자 리포팅과 함께 해당 지도를 10초가량 송출했다.
해당 지도에는 독도와 울릉도 사이를 EEZ 경계로 주장하는 일본 입장이 그대로 담겼다. 울릉도는 우리 EEZ에, 독도는 일본 EEZ에 자리잡고 있는 모습이다.
배타적 경제수역이란 연안으로부터 200해리 수역 안에 들어가는 바다를 의미한다. 연안국은 수역 안의 어업 및 광물 자원 따위에 대한 모든 경제적 권리를 배타적으로 독점하며, 해양 오염을 막기 위한 규제의 권한을 가진다.
독도는 1998년 9월 한·일어업협정 재개정이 체결되며 양국 중간수역에 포함됐다. 한·일 양국 간 해역이 400해리 미만이어서 EEZ가 겹치는 것을 해결하기 위해 양국이 협의한 것이다.
하지만 일본은 90년대 후반부터 독도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해왔다. 이는 EEZ를 12해리에서 200해리까지 확장하는 'UN 해양법협약'이 발효된 시기로 해상영토 확장의 야욕을 노골적으로 드러낸 것이다.
15일 서경덕 성신여대 창의융합학부 교수는 페이스북에 “KBS는 '일본 주장 배타적 경제수역'이라는 설명을 사용하기는 했지만, 독도가 일본 측 수역에 있는 것으로 표기된 지도를 사용한 것은 잘못한 일"이라고 지적했다.
서 교수는 "최근 국방부가 발간한 장병 정신교육 자료에 독도를 '분쟁 지역'으로 기술했고, 다수의 한반도 지도에 독도가 전혀 표시돼 있지 않은 것으로 밝혀져 큰 논란이 됐다"며 "이런 일들이 계속 발생하는 건 일본에 빌미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시는 이런 일이 벌어지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논란으로 KBS 시청자청원 게시판에도 비판이 이어졌고, KBS는 1시간여 뒤 관련보도 화면을 수정, 해당 그래픽을 삭제했다.
디지털뉴스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